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변질된 대한통운 M&A..'삼성-CJ' 법적 공방·가격 거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대한통운 인수전이 삼성그룹과 CJ그룹의 범삼성가 집안 다툼으로 끝내 변질됐다.


여기에 본입찰 참여 여지를 남겨두고 흥행몰이 역할을 했던 롯데가 결국 불참하는 과정에서 보복성 수싸움을 벌인 탓에 대한통운 몸값은 예상보다 높아졌다.

법적 소송과 높은 가격 등으로 M&A 본질이 퇴색된 이번 대한통운 인수전에서 포스코·삼성SDS 컨소시엄과 CJ 중 누가 승전보를 울릴 지 이목이 집중된다.


◆M&A '본질 실종'..법적 다툼·가격 거품=대한통운 M&A가 ▲법적 공방 ▲높은 가격 등으로 변질 조짐을 보인 것은 '삼성 자본'이 유입된 이후다. 삼성SDS가 범삼성가이자 유력한 인수 후보군으로 꼽히던 CJ와 손을 잡지 않고 포스코를 택하면서 돌발 변수가 발생한 것. CJ가 대한통운 M&A 전략에 대한 A부터 Z까지 공유했던 인수 자문사 삼성증권이 계약을 자진 철회한 것이 도화선이 돼 결국 CJ는 삼성에 법적 카드를 꺼내들었다.

CJ 측은 본입찰 제안서를 제출한 직후 공식 입장을 내고 "인수 자문 계약을 철회한 삼성증권에 대해 손해배상 청구 소송 등 법적 책임을 물을 방침"이라며 "M&A 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비도덕적인 삼성증권의 행태에 배신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CJ의 강도 높은 압박에 삼성은 꿈적하지 않는 분위기다. 삼성 측은 "비즈니스 차원의 결정이었을 뿐 CJ를 속이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거듭 반박했다.


CJ와 삼성의 법적 공방은 이번 대한통운 M&A의 최대 변수로 꼽히면서 앞으로의 일정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예비입찰에서 가장 높은 금액을 제시하면서 왕성한 의욕을 보였던 롯데는 결국 본입찰에서 빠졌다. 하지만 본입찰 막판까지 '오리무중' 행보를 보이면서 입찰 가격 경쟁에 불을 붙이는 데 일조했다는 분석이다.


M&A 업계 관계자는 "롯데가 백기를 든 것처럼 보이지만 M&A 경험이 많은 덕분에 치밀한 계산 아래 전략적으로 움직인 것으로 보인다"면서 "대한통운 몸값은 경쟁에 의해 다소 과하게 올랐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대한통운은 팔린다=삼성의 갑작스런 개입으로 대한통운 인수전이 변질 상황을 맞았지만 최종적으로 승자와 패자는 갈릴 전망이다. 대한통운 채권단은 늦어도 3일 이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본입찰 마감 후 하루 만이다.


승패는 가격에서 결정 날 것으로 예상된다. 채권단 관계자는 "비가격적 요소도 중요하지만 이번 대한통운 M&A에서는 가격적인 측면의 비중이 높은 편"이라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대한통운을 인수할 수 있는 가격대로 1조4000억~1조7000억원을 예상하고 있다. 포스코·삼성SDS 컨소시엄이 자금력 우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지만 독기를 품은 CJ가 강하게 베팅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일정대로라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예비 인수자는 내달 초 양해각서(MOU)를 맺고 약 3주에 걸쳐 대한통운에 대한 정밀 실사를 실시한다. 본계약은 8월 초 진행될 예정이다. 대금 납입 및 계약 완료는 공정거래위원회에 기업 결합 신고를 마친 9월 초쯤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 관계자는 "결정 시기는 다소 조정될 수 있다"며 "본계약이 확정되는 시기가 늦어지면 계약 완료 시기도 변동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혜원 기자 kimhy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