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일반의약품 10% 슈퍼판매 시, 생산유발 460억원"

시계아이콘00분 4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일반의약품의 10%가 약국 외 장소에서 판매될 경우 약 46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일본처럼 95%가 전환되면 그 규모는 436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3일 '일반의약품 약국 외 판매의 경제적 효과'라는 보고서를 통해 "2009년 국내 일반의약품 생산실적인 2조5000억원을 기준으로 단계별 전환 비율을 가정해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한 결과, 10% 전환 시 생산유발 효과가 460억원으로 추산됐다"고 밝혔다.

보고서를 작성한 장후석 연구위원은 "전환비율이 50%에 달하면 2300억원, 95%에 달하면 4360억원"이라며 "취업 유발효과 또한 10% 전환 시 220명, 95% 전환 시 2110명"으로 내다봤다.


장 연구위원은 "일반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를 늘리면 국민들은 약값과 진료비 하락을 통해 가계의료비 부담을 덜 수 있고, 소비자의 접근성도 높아진다"며 "제약사는 일정액의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그는 "일본이 1998년 드링크제에 대한 슈퍼판매를 허용한 뒤, 시장규모가 1997년 1014억엔에서 2005년 1300억엔으로 22% 늘어났다"며 "가격경쟁으로 가격이 인하됐으나 접근성이 좋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일본의 경우 슈퍼 판매 초기 일반약 매출이 증가한 제품군은 드링크류"라며 "나머지 품목은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한 점을 미뤄볼 때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 연구위원은 "일반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는 시행에 따른 파급 효과를 고려해 일반의약품 중 안전성이 확보된 가정상비약 수준의 약품부터 시작해 점진적으로 대상을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는 의약품 분류체계를 고정된 분류가 아닌 유동성 분류로 인식하고 정기적 분류체계 가동을 위한 의약품분류위원회 등의 꾸준한 활동을 유도해야 한다"며 "일반 의약품의 안전성 및 오남용에 대한 우려를 감안해 유통안전관리제도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