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L";$title="il-최중경,이명박,일러스트";$txt="";$size="250,365,0";$no="201104051124238927420A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당초 지난 1일로 예정됐던 포스코의 철강제품 가격 인상이 지연되면서 생산에서 수요업계로 이어지는 흐름에 혼란이 커지면서 시장 왜곡이 심화되고 있다.
출하가격이 결정되지 못하다보니 이를 구매해 수요업체에 되파는 유통업계도 시장가격을 조정하지 못해 판매를 보류하고 있고, 수요업체는 물량이 없어 살 수 없는 악순환도 벌어지는 양상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철강가격 인상안을 빠르면 이번 주말 늦어도 다음주초에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의 발표 이후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동부제철도 이에 맞춰 가격안을 공개할 예정이며, 실제 인상가격이 시장에 반영되는 시기는 이달 말 또는 다음달초가 될 전망이다.
가격 발표가 늦어져 철강업계는 큰 폭의 기회비용 손실을 감내해야 했다. 철강업계는 1주일 지연으로 수천억원대의 금액을 손해 본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포스코는 당초 마련한 철강가격 인상을 더 낮추는 방향으로 전면 수정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pos="R";$title="il-엎드린사람,일러스트";$txt="";$size="252,154,0";$no="201104051124498932232A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철강업계 관계자는 "지난주 포스코는 평균 t당 16만원의 가격 인상안을 마련했으나 정부로부터 승인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기준 인상안을 t당 13만원대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
지난주 정부의 물가안정대책회의 개최 및 SK에너지를 비롯한 정유업계가 기름값 인하를 단행하면서 철강업계도 어느 정도 '성의 표시'를 해야 한다는 분위기로 급선회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실제 유통시장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수요업계는 포스코의 인상 발표 이전에 미리 물량을 확보하겠다며 주요 제품을 사재기하려고 하고 있는 반면 철강사로부터 물건을 공급받고 있는 대리점 또는 판매점 등은 현 시세로는 팔면 손해라는 생각에 출하를 줄이거나 중단한 상태다.
열연, 후판 등을 구매해 냉연, 강관, 철근 등을 생산하는 2~3차 하공정 생산업계와 철강재를 구매해 자동차 부품 등을 만드는 중소 제조업체들도 맨몸으로 한겨울 추위에 서 있는 상황이다. 즉, 완성품 업체에 제품을 공급할 때 원가 산정 기준은 포스코 판매가격이다.
포스코 제품을 받지 못해 비싼 수입산 철강재로 부품을 제작해 납품 후 거래명세표를 제출하면 그만큼 가격을 올려줘야 하는데, 완성품 업체는 포스코 가격을 기준으로 그보다 낮은 가격을 주장하는 단가 후려치기가 성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공정 철강제품 생산업계 관계자는 "포스코가 가격을 올려줘야 우리도 완성품 업체에 납품하는 가격을 올릴 수가 있다"며 "철강재로 부품을 만드는 중소기업들도 완성품 업체의 공급가격 후려치기가 심한 상황에서 포스코가 업계가 원하는 수준의 인상을 포기할 경우 후발사들의 연쇄 경영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철강업계와 제조업체는 정부의 과도한 물가 안정책이 오히려 생산과 판매로 이어지는 산업의 대동맥을 막는 꼴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철강업계 고위 관계자는 "상반기 생산ㆍ수출이 몰리는 5월까지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된다면 자동차와 기계, 전자 등 주요 철강재 수요업계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철강가격 현실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채명석 기자 oricms@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채명석 기자 oricms@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