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어령 교수가 '성냥팔이 소녀'에서 찾은 건 무엇일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16초

[아시아경제 성정은 기자]"성냥팔이 소녀가 왜 얼어 죽었는지 아시나요?"


돌아갈 집이, 가족이 없었던 것도 아니란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성냥팔이 소녀 이야기를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질문이 주어지면 대답을 못하고 머뭇거리기 십상이다.

이어령 교수가 '성냥팔이 소녀'에서 찾은 건 무엇일까
AD

21일 서울 중구 프레스 센터에서 여성가족부 주최로 열린 '가족친화포럼 창립총회'에서 '21세기 난문제를 가족친화 원리로 풀기'를 주제로 특별 강연에 나선 이어령 이화여대 석좌교수는 이렇게 이야기를 꺼내들었다. 이 교수의 질문을 받은 청중들은 의아한 표정이었다.


그는 다시 말을 이어나갔다. 성냥팔이 소녀는 아버지 때문에 집에 못 들어가 얼어 죽었다는 것이다. 어머니와 할머니가 돌아가신 뒤 아버지와 단둘이 살고 있었는데 성냥을 다 팔지 못하고 돌아가면 아버지가 매를 들었기 때문에 집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는 것이 이 교수의 대답이었다.

성냥팔이 소녀의 얘기를 마친 이 교수는 지식인들이 어떤 문제에 맞닥뜨렸을 때 자신이 해답을 안다고 여기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이어 집(house)은 있었지만 가정(home)이 없던 성냥팔이 소녀의 얘기에서 눈여겨 봐야할 것은 가정이 붕괴된 우리 사회가 어머니의 역할 뿐 아니라 아버지의 역할도 고민을 해야 한다는 메시지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가족이 무너지고 저출산이 문제가 된 것은 문명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아이를 낳아 기르겠다는 본능이 사라지고, 그 자리를 문명사회에 찌든 인간의 본능이 둥지를 틀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 문제가 아버지는 밖에서 일하고 어머니는 집안일을 하는 도시화 구조 때문이라고 해석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문명의 문제, 미래의 문제가 된 가족 문제를 해결하려면 여성과 남성, 사회 전체가 함께 발을 내디뎌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리가 발을 내딛지 않으면 이제 미래는 없다"고 말한 이 교수는 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 방안으로 두 가지를 제안했다. 하나는 '3살 마을 만들기'이고, 다른 하나는 '결혼 수첩 물려주기'다. 둘 다 이 교수가 직접 실천하고 있는 것들이라고 했다.


중세 유럽에서 가장 유복했던 12~13세기는 여성들이 공동체를 이뤄 가난한 사람을 돕고 아이를 함께 길렀던 때라고 말한 이 교수는 생물학적으로 부모의 돌봄이 필요한 3살 까지는 모든 아이들이 제대로 된 보살핌을 받을 수 있도록 3살 마을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또 부모들이 아이를 기르면서 느낀 점, 아이가 아팠을 때 어떻게 했는지 등을 적은 결혼 수첩을 자녀들에게 물려줘야 한다고 말했다. 부모가 자신을 정성껏 길러준 이야기를 자녀들이 읽는다면 그들도 부모처럼 온 힘을 쏟아 아이를 기를 것이 분명하다는 게 이 교수의 말이다.




성정은 기자 jeu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