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익공유 반발' 재계 '상생'에 1조원 푼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30대 그룹 올해 협력사 지원금 1조809억원...전년 대비 25% 증가

[아시아경제 이정일 기자] 삼성ㆍ현대차ㆍLG 등 30대 그룹이 올해 협력사 지원금으로 1조원 이상을 쏟아붓는다. 재계의 '통큰 투자'는 최근 논란이 되는 '초과 이익 공유제'의 파장을 차단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된다.


21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삼성과 현대차 등 30대 그룹은 올해 협력사 지원금으로 1조809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 해 지원금 8600억원보다 25% 정도 늘어난 수치다.

전경련 관계자는 "협력사 지원금은 협력사의 기술 개발이나 인력 교육 지원 등에 사용된다"며 "지원금이 해마다 25% 이상씩 확대되는 것은 재계의 동반 성장 활동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특히, 삼성전자현대차LG전자포스코SK텔레콤 등 5대 기업의 올해 협력사 지원금은 총 4909억원(지난 해 3338억원)으로 전체의 4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매출 상위 기업들이 협력사 지원에도 앞장서고 있는 셈이다.

자금 지원 뿐만 아니라 대ㆍ중소 공동 번영을 위한 상생 교육도 강화된다. 전경련은 대기업 구매 담당 임직원을 대상으로 5월께 상생 교육을 실시할 방침이다. 이 자리에서는 협력사와의 적극적이고 투명한 협력이 한국 경제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점이 강조될 것이라고 전경련측은 덧붙였다.


그룹들의 독자적인 협력 활동도 속도를 내고 있다. 올초 현대차는 2차 협력사 CEO를 대상으로 품질 개선 교육을 실시했다. 지난 해까지 1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하던 것을 올해부터는 2차 협력사로 확대한 것이다. 회장 직속 기구로 동반성장팀을 둔 두산그룹도 계열사 CEO에 스톡옵션을 차등 지급하는 당근책으로 협력사 지원 활동을 독려하고 있다.


재계의 이같은 행보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초과 이익 공유제'와 맞물려 더욱 주목받고 있다. 대기업의 자발적인 상생 활동이 시장 논리에 더 부합한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자연스럽게 초과 이익 공유제 논란을 차단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김현종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도덕적 해이를 낳을 수 있는 초과 이익 공유제와 달리 재계의 협력사 지원은 발전 가능한 중소기업에 대한 선별적 지원이라는 점에서 시장 논리에 더 부합한다"면서 "대기업의 자발적인 협력사 지원에 사회적 에너지를 집중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정일 기자 jayle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