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권혁세號 돛달자 강풍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28일 금감원장 취임…저축銀 구조조정 등 현안 산적

[아시아경제 이현정 기자]권혁세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오는 28일 금융감독원장 취임을 앞두고 어깨가 한층 무거워졌다.


저축은행 구조조정, 가계부채 리스크 강화,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연장 등 굵직굵직한 사안의 처리는 물론, 취임과 동시에 이뤄질 대대적인 조직개편에도 정치권과 금융권의 관심이 쏠려있기 때문이다.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하는 건 부실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위한 검사다. 권 내정자는 저축은행이 대주주 증자나 자본유치를 통해 스스로 정상화하지 못하면 삼화저축은행처럼 매각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혀왔다.


금융위와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한데 권 내정자는 김석동 금융위원장과 고시 동기(23)일 뿐 아니라 지난 2009년 11월부터 금융위 부위원장을 맡아온만큼 정책 추진이 한층 탄력받을 것이란 평가가 우세하다. 이와 함께 최근 1000조에 육박하고 있는 가계부채 관리에도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유관기관과 학계 및 시장 전문가들이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가운데 금융위는 내주께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금감원 내부의 대대적인 조직개편도 관심거리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권 내정자가 취임 직후 감독국와 검사국을 분리하고 본부장제 폐지, 감독부서 강화 등 예전 시스템으로 복귀하는 방식의 조직개편을 단행할 것"이라며 "저축은행 부실을 계기로 관리감독 강화 강화 필요성이 계속 제기된 만큼 취임 직후 조직개편이 예상보다 빨리 진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권 내정자는 1956년 대구에서 출생, 현 정부 고위 경제관료 가운데 대표적인 'TK(대구경북)' 출신으로 분류된다. 경북고와 서울대 경영학과를 나와 행시 23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과장, 세제실 재산소비세제국장 등을 거쳐 금감위 감독정책1국장, 금융위 사무처장 등을 지냈다.


금융정책 및 감독 분야에 정통할 뿐 아니라 세제, 거시경제정책 등 폭넓은 지식과 실무경험을 갖추고 있어 진작부터 가장 유력한 차기 금감원장으로 거론돼 왔다.


한편, 오는 26일 임기가 끝나는 김종창 금감원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검사하고 제재하고 많이 했는데 금감원은 문제만 생기면 뭐든지 할 수 있는 걸로 생각하는 것 같아 서운하게 됐다"며 "법무법인으로 갈지는 아직 정해진 게 없으며 우선 좀 쉬고 싶다"고 그동안의 소회를 내비쳤다.




이현정 기자 hjlee303@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