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꼭 다시 올게"..그 약속에 담긴 인연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꼭 다시 올게"..그 약속에 담긴 인연들
AD

[아시아경제 성정은 기자] "다음에 또 올게." "꼭 다시 만나러 올게." 누군가를 붙잡고 했었던 간절한 약속들.


그 약속들을 얼마나 지키며 살아왔는지 되돌아보니 남는 건 후회뿐이다. 차라리 약속을 말 것을, 괜한 약속으로 그 누군가에게 상처를 준 건 아닐까 하는 데까지 생각이 미치니 괴로운 맘이 든다.

괴로운 마음을 조금이나마 떨쳐버리고 싶어 집어 든 책, '인연 언젠가 만날'(꿈의 지도 펴냄). 사진작가이자 에세이스트인 이해선씨는 10년 전 인도 라다크를 여행하며 만났던 사람들과의 약속을 지키려 다시 그 곳으로 떠난 이야기를 담아 이 책을 펴냈다. 시간이 많이 흐른 뒤지만 약속을 지키려 떠난 이씨의 이야기에서 묘하게도 마음의 위안을 얻었다.


눈 때문에 일 년에 여름 석 달 동안만 열리는 길을 따라 온종일 버스를 타야 갈 수 있는 곳, 인도 북동부 라다크의 스탁샤. 이씨는 스탁샤에서 자신을 쏙 빼닮은 외모에 나이까지 같은 여인, 스칼장 아몽을 다시 만나 10년 전 약속대로 사진을 건넸다.

처음 스탁샤를 찾았을 때 스칼장 아몽과 그 가족들이 부러워했던 건 이씨가 가진 카메라도, 이씨가 입고 있던 옷도 아니었다. 힌두교도들과 티베트 사람들이 죽기 전에 꼭 한번 가보기를 소망한다는 카일라스 성산에 이씨가 다녀왔다는 사실이었다. 카일라스를 한 바퀴 도는 순례의 길을 마치면 이번 생에 지은 죄를 용서받는다고 믿는 그들. 스칼장 아몽은 이씨에게 다음에 스탁샤에 다시 오게되면 카일라스 사진을 꼭 가져다달라고 부탁했었다. 이씨는 꼬박 10년 만에 그 약속을 지켰다.


이국에서 온 낮선 여행자를 자기네 친척이라도 된 듯 스스럼없이 대해주던 사람들한테서 마음의 위로를 얻었다고 말하는 이씨. 그 곳 사람들은 '군장돌마'라는 현지식 이름까지 지어주며 이씨를 가족처럼 대해줬다. 외국인 출입금지 구역이라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자신의 스카프를 머리에 둘러주고 목에 걸고 있던 염주까지 벗어주는가 하면 고산병으로 쓰러져있던 이씨를 집으로 데려가 회복될 때까지 보살펴 준 사람도 있었다.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버스 정류장에서 쪼그리고 앉아 있을 때 따뜻한 차를 들고와 몸을 녹여준 꼽추 여승, 얼굴이 닮았다는 이유로 살구를 듬뿍 집어준 아낙까지 생의 벼랑 끝에서 희망을 찾아 히말라야로 숨어 든 이씨의 마음을 보듬어 준 건 '사람'이었다.


돈을 잃고,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절박한 마음에 다시 찾았던 히말라야 땅에서 이씨가 찾은 위로와 희망을 함께 나누고 싶은 사람이라면, '다시 찾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해 괴로운 사람이라면 이씨의 책을 펴보라. 위안을 얻을 것이다.


성정은 기자 jeu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