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국發 금리인상 '있다 vs 없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원화절상 부추겨 vs 물가불안 선제적 대응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중국의 전격적인 금리인상이 오는 11일 금융통화위원회에 영향을 미칠까?


국내 전문가들의 의견은 '중국의 금리인상으로 위안화가 절상되면 원화절상을 부추길 수 있으므로, 금통위가 금리를 인상하는 데 제약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의견과 '중국이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금리를 인상한 만큼, 우리도 선제적으로 물가불안에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팽팽하게 갈린다.

9일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통화정책은 물가는 물론 다른 매크로 변수들도 함께 검토될 사안이지만, 환율만 놓고 본다면 기준금리 인상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중국 당국이 추가적으로 금리를 인상한다고 하면 그 영향력이 더 커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 연구원은 중국의 금리인상이 예견된 만큼 그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추가 금리인상이 단행될 경우 국내 경제에 대한 파장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금융센터 역시 중국 금리인상의 후유증에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중국 추가 금리인상 영향과 향후 전망'이란 보고서를 통해 "중국 금리인상으로 위안화 절상압력이 커지고 있다"면서 중국 정부가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정도의 긴축은 자제하겠지만 경제상황만 놓고 보면 추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그는 "중국의 경우 이번 금리인상 이후에도 여전히 1.8% 내외의 실질 마이너스 금리가 유지되고, 소비자물가도 1분기까지 4%를 상회하는 높은 수준이 될 것"이라며 중국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금통위가 선제적 물가대응을 위해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입장도 적지 않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금리인상으로 인한)위안화 절상이 국내 기준금리 인상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부분이 어느 정도 있다"면서도 "그러나 현재 고물가에 대한 우려가 큰 만큼 금리인상의 필요성이 더욱 크게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이날 오전 정부 과천청사에서 열린 경제정책조정회에서 "물가 인상 압력에 미리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