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유로존 구제금융기금 확장 진통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아시아경제 안혜신 기자] 위기에 빠진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을 구하기 위한 대책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유로존 재무장관회의에서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증액을 두고 진통이 이어지고 있다.


17일(이하 현지시간)부터 벨기에 브뤼셀에서 이틀간의 일정으로 유로존 재무장관회의가 시작됐지만 회의 첫날 뚜렷한 성과 없이 서로 이견만 확인한 채 마무리 됐다.

이날 회의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논의된 부분은 지난해 5월 그리스 구제금융을 기점으로 마련된 4400억유로 규모 EFSF의 증액이다.


시장에서는 포르투갈과 스페인 등이 구제금융을 신청할 경우 현재 실질적 자금 동원 능력이 2500억유로에 불과한 EFSF가 부족할 것이라는 의견이 팽배하다.

올리 렌 유럽연합(EU) 경제통화담당 집행위원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재정 지원책을 개선해 유로존이 최악의 시나리오에 직면하더라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클로드 융커 유로존 재무장관회의(유로그룹) 의장 역시 "현재 유로존은 매우 곤란한 상황에 처해있으며 금융시장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빠른 시일 내에 재정적자 위기를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EFSF증액을 촉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EFSF 증액 반대 입장을 밝혀 온 독일은 이날 재차 반대 의사를 명확히 했다.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은 "현재 EFSF 자금은 위협받지 않고 있다"면서 "(재무장관회의에서)논의해야 할 사항이 많지만 지난주 유로존 시장상황은 좋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표적 재정불량국인 포르투갈과 스페인·이탈리아가 지난주 연달아 국채 발행에 성공하는 등 유로존 위기가 다소 희석됐다는 것이 EFSF 증액을 반대하는 이유다. 지난해 11월 아일랜드 구제금융에 기금의 10분의1 가량만을 사용했다는 점도 증액 반대의 이유로 꼽히고 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EFSF 증액 뿐 아니라 구제금융 지원을 받은 국가들을 위한 대출금리 인하 방안도 논의됐다. 현재 EU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은 아일랜드는 6% 수준의 높은 금리를 지불하고 있다.


이와 함께 EFSF의 대출 여력을 높이는 한편 이 자금을 유로존 국채 매입에 활용하는 등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는 18일 이어질 예정이다. 18일 회의에서 EFSF 확대 등 주요 의제에 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논의는 오는 2월까지 연장될 가능성도 있다.




안혜신 기자 ahnhye8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