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베이비부머 은퇴 시작...재정부담 가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향후 20년간 매일 1만명 은퇴하는 꼴...사회복지 비용 급증

[아시아경제 조해수 기자]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는 미국 경제가 예기치 못했던 복병을 만났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올해부터 은퇴 적령기를 맞으면서 재정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미국 정부에 재정 부담을 가중시킬 것으로 보인다.


베이비부머란 2차 대전이 끝난 1946~1965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을 일컫는다. 베이비부머는 미국 전체 인구의 약 30%를 차지할 정도로 막강한 영향력을 지닌다.

올해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맏형인 46년생이 65세가 되면서 은퇴 적령기를 맞이하게 된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쓰나미’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셈이다. 정책연구소 어메리칸 엔터프라이즈 인스티튜트의 앤드류 빅스 애널리스트는 “향후 20년 동안 매일 1만명이 은퇴를 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가장 부유한 계층이 은퇴를 시작함으로써 내수시장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폭스뉴스는 “자동차, 주택을 비롯한 모든 종류의 제품 판매가 위축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가장 큰 타격을 입는 곳은 미국 정부다. 올해에만도 7900만명이 납세자에서 사회복지 수급자로 전환된다. 지난해 1조3000억달러의 적자를 기록한 바 있는 미국 정부로서는 상당한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더글라스 홀츠 이킨 전(前) 의회예산국 이사는 “사회보장 및 메디케어 혜택을 전부 제공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혜택을 축소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현행 사회보장 및 메디케어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수십조달러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베이비부머가 모두 은퇴하게 되면, 노동인구가 벌어들이는 3달러 중 1달러는 오로지 사회보장 및 메디케어를 위해 사용돼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늘어난 노령인구 복지 비용은 증세를 통해 충당될 수밖에 없다. 폭스뉴스는 “복지 혜택을 축소할 필요가 있지만 65세 이상의 인구는 강력한 투표권자이기 때문에 어떤 정치인도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면서 “결국 증세밖에 해결책이 없다”고 설명했다.




조해수 기자 chs90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