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G20] 첫 만찬 개최.. MB 선택은 '美·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6초

버락 오바마 美 대통령·데이비드 카메론 英 총리, MB 양 옆에
'환율전쟁' 충돌 우려 美·中 맞은편 배치.. '불편한 2시간(?)'

[G20] 첫 만찬 개최.. MB 선택은 '美·英'
AD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박연미 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첫 날인 11일 마련된 업무만찬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데이비드 카메론 영국 총리와 나란히 앉는다. 그간 의전 서열과 의사 진행 효율에 근거한 다양한 추측이 제기돼 왔지만, 당일 오후 공개된 이 대통령의 선택은 1, 3차 의장국인 미국과 2차 의장국인 영국이었다.

재직기간을 기준으로 의전서열 1순위였던 룰라 다 살바 브라질 대통령의 경우 이 대통령의 맞은편에 배치됐다. 환율 문제로 '불편한 관계'에 있는 중국과 미국은 맞은편 자리에 배치돼 2시간 내내 얼굴을 마주하게 됐다.

[G20] 첫 만찬 개최.. MB 선택은 '美·英'


◆G20 첫 공식 만찬.. 각국 정상 한자리에 = 11일 오후 7∼9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업무만찬에서 의장국인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의 양 옆에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 카메론 영국 총리가 각각 앉았다. 호스트 자리를 중심으로 아르헨티나-미국-한국-영국-캐나다의 순서로 미국-프랑스-한국-영국-캐나다(4차 회의 임시 의장국), 혹은 캐나다-영국-한국-미국-브라질 순으로 앉게 될 것이라는 기존의 관측과는 다소 다르게 배치됐다. 국제기구대표들은 테이블의 양 옆에 앉는다.

통상 자리배치는 의전서열에 따라 국가원수 그룹, 정부수반(총리) 그룹, 국제기구대표 그룹 등으로 나눠 자리가 돌아간다. 정상들은 취임 순서가 빠른 정상일수록 높은 서열을 차지하며 취임일이 같다면 연장자가 우선이다.


그러나 프랑스의 경우 이 대통령과 거리상으로 가장 먼 대각선 끝 방향에 배치됐고, 5개 의장국을 제외하고 의전서열이 가장 높은 브라질의 룰라 대통령의 경우 이 대통령의 맞은편에 앉는다. 이 대통령과 만찬 시간 내내 마주보게 되는 룰라 대통령의 양 옆 자리는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펠리페 칼데론 멕시코 대통령이 각각 차지했다.


이에 대해 신상목 G20 준비위 행사기획과장은 "차기 의장국인 프랑스의 자리가 한국 정상의 자리에서 대각선으로 먼 곳에 배치된 것은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이 12일(만찬 이튿날) 도착해 크리스틴 라가르드 재무장관이 대신 참석하기 때문"이라면서 "러시아와 중국, 브라질 등 브릭스 국가들이 나란히 앉은 데에도 특별한 요청이나 이유는 없다"고 설명했다.


신 과장은 이어 "미국과 영국, 캐나다 등 앞서 G20 의장을 맡았던 나라들을 빼면 모두 당선일 등 의전 순서에 따라 자리를 배치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만찬에서 브라질에 두 자리가 배치된 것과 관련해서는 "브라질에서는 현 룰라 다 실바 대통령과 차기 대통령 당선이 참석한다"면서 "의전서열상 현직이 아닌 당선인은 가장 말석에 배치되며 배치도 우측 세계은행(WB) 옆자리가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 당선인의 자리"라고 밝혔다.


◆'외나무 다리'서 불편한 2시간 = 최근 양적완화에 대한 국제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미국과 위안화 절상 압력을 받고 있는 중국은 환율 전쟁으로 가장 '불편한 관계'에 있는 상황. 그러나 공교롭게도 이번 업무만찬에서 맞은편 자리에 배치되면서 2시간 동안 진행되는 만찬 내내 서로 마주보게 됐다.


게다가 환율 및 경상수지 가이드라인 등 G20 재무차관 및 교섭대표(셰르파) 간 협의가 불발되면서 굵직굵직한 논의 과제는 만찬장으로 넘어오게 됐다. 환율 문제는 자연히 이번 만찬의 주 메뉴가 될 전망이다.


후 주석의 경우 브라질의 룰라 대통령 바로 옆자리에 배치되기도 했는데, 이 또한 불편하긴 마찬가지다.


룰라 대통령은 한국에 입국하기 직전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미국과 중국이 환율 전쟁을 부추기고있다"면서 세계적인 환율 전쟁의 주범으로 미국과 중국을 직접 겨냥한 바 있다. 그는 이번 정상회의에서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합의가 나와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하기도 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
박연미 기자 chang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