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기·수소·하이브리드 등 '4대 그린카' 특화 개발

정부 보조금·세계 혜택 전기차 시장 활성화 유도...배터리·부품 기술 표준화

[아시아경제 이정일 기자] 본지가 단독 입수한 '그린카 종합추진로드맵'은 미래 신수종 사업으로 추진해온 그린카 산업의 장기 비전이 구체적으로 윤곽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로드맵이 완성된 것이 아니어서 지속적으로 다듬어갈 것"이라고 밝혔지만, '2015년 그린카 4대 강국'이라는 이명박 정부의 구호를 보다 구체적으로 뒷받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특히 이번 로드맵은 2015년 그린카 4대 강국을 넘어 2020년 그린카 자립 성공, 2030년 그린카 3대 강국 진입 등 장기적인 청사진을 제시함으로써 그린카 선진국을 향한 정부의 일관되고 확고한 정책추진을 기대케 하고 있다.


로드맵을 세부적으로 뜯어보면, 정부는 전기를 원료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EV), 가솔린(또는 디젤, 액화석유)과 전기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차(HEV), 수소로 달리는 연료전지차(FCEV), 그리고 클린디젤차(CDV) 등으로 산업 영역을 구분해 접근하고 있다.

전기차, 선보급 이어 인프라 확대
전기차는 그동안 하이브리드차와 수소차에 집중돼온 선진국들의 관심을 이끌어내면서 미래 그린카 산업의 주축으로 떠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정책에 상당 부분 반영됐다는 평가다. 전기차 시장은 올해 전 세계적으로 8만3000대 규모를 형성하고, 2015년에는 10배 증가한 78만대를 기록하는데 이어 2020년에는 266만대로 성장할 전망이다.


하지만 국내 시장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CT&T를 중심으로 60km 미만의 저속전기차가 상용화되긴 했지만 현대ㆍ기아차와 르노삼성 등 완성차들은 빨라야 올 하반기에나 고속 전기차를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i10' 전기차를 출시할 예정인 가운데 2020년 12만3000대로 늘린다는 복안이다. 르노삼성도 배터리 교환방식의 전기차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번 로드맵에 따르면, 정부는 1단계 선보급 전략을 통해 전기차의 시장 진입에 성공하고 2단계에서 인프라 확대 등을 통해 안정기에 들어간다. 특히 정부가 신경을 쓰는 것은 보조금이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자동차 선진국은 파격적인 보조금과 각종 세제 지원을 통해 시장을 키워가고 있다.


보조금만 보더라도 미국은 7500달러, 일본은 139만엔, 영국은 5000파운드, 중국은 6만 위안이 제공된다. 우리 정부는 같은 성능의 차일 경우 전기차가 가솔린 차보다 두 배 이상 비싸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업계의 우려를 반영해 보조금 지급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다만, 전기차 출고가가 먼저 정해져야 보조금 규모를 정한다는 입장이다. 정부 관계자는 "완성차 업계는 40~50% 수준의 보조금을 요구하고 있지만 그린카 선진국과 비교해 지나치게 높은데다 재원 마련도 쉽지 않다"면서 "재원 마련 가능성, 전기차 활성화 등을 고려해 보조금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이브리드차, 2020년까지 지능형으로 개발
이번 로드맵은 또한 그린카의 대표주자격인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지원 방안도 담고 있다. 1단계에서는 가격 저감 핵심 기술 개발에 주력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2단계에서는 지능형으로 진화시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다는 내용이다.


사실 하이브리드차는 1997년 첫 출시 후 연 평균 33%씩 증가하는 등 시장 진입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2015년에는 연 판매량이 400만대를 넘길 전망이다. 하이브리드차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미국은 250억 달러, EU는 40억 유로의 저리 융자를 지원하며, 중국은 기술 개발에 15억 달러를 제공한다.


우리나라도 지난 해 6월 비상경제대책회의와 7월의 녹색위원회 회의에서 향후 5년간 총 1500억원을 투입키로 한 바 있다. 현대차는 지난 해 첫 하이브리드차인 'LPi HEV'(가솔린과 전기)를 출시한 데 이어 올해는 휘발유 HEV(휘발유 + 전기)를 선보일 계획이다.


올해 7만대 수준의 국내 하이브리드차 규모도 2013년 20만대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내 하이브리드차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술과 시장 지원에 초점이 맞춰 로드맵을 구성했다.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가 상용화에 돌입한 것과 달리 수소차(연료전지차)는 현재 시제품을 출시하기 위한 실증단계에 머물러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2015년을 보급목표로 수만대 정도를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미국은 수소생산, 운반, 저장까지 아우르는 원스톱 환경 조성에 집중하고 있으며, 유럽은 1600km에 달하는 수소 파이프라인을 완공했다.


국내에서는 현대차가 2012년 2000대, 2015년 1만대의 수소차를 생산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번 로드맵은 국내 수소차 시장이 2020년 5만대, 2030년 10만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관측하면서 2015년까지 양산 기술 구축, 2020년까지 보급 지역 확대라는 계획을 제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


그린카 부품 산업 선진화 추진
클린디젤차도 그린카 전략의 일환으로 정부가 역점을 두는 사업이다. 2015년 전 세계 클린디젤차 시장은 4207억 달러로 예상된다. 이웃 일본은 2020년까지 30만대(9000억엔) 수준으로 높일 것으로 전해졌다.


각국의 클린디젤차 지원에 대응해 우리나라는 '무공해 자동차 사업 계획'을 통해 2004년부터 2011년까지 650억원을 지원하고, '자동차 배기 제로화 사업 계획'에 따라 400억원을 추가 투입키로 했다. 로드맵은 정부의 이같은 자금 지원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성공적 정책 추진의 가능성을 높여준다.


이번 로드맵은 또한 기술 표준화와 안정성 확보, 인력양성 등에 대한 장기 비전도 제시하고 있다. 단기적으론 배터리 등 주요 부품 및 차량별 성능, 연비 평가 표준화를 마련해 시장 발전의 기반을 확충하고, 장기적으론 선진기술 협력투자를 위한 박람회 개최 등 외연확대에 집중해 그린카 부품 시장에서도 선진국에 도약한다는 내용이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이정일 기자 jayle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