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역경제 발목잡는 건설경기

미분양 적체에 수주급감.. 건설사 연쇄부도 겹쳐 신음


[아시아경제 소민호 기자] 지방경제의 신음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앓는 소리' 수준이 아니다. 광공업 생산과 서비스업 등에서는 회복 속도가 느껴지지만 지방경제 흐름을 좌우하는 건설경기가 한겨울인 탓이다.

부산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신규 건설 물량이 전무하거나 미분양 소진마저 제자리걸음이다. 이에 따라 지방의 실업률도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실례로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호남권 실업률 현황을 살펴보면 광주, 전남의 실업자는 7만2000여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2000여명 늘었다. 실업률도 광주, 전남이 각각 4.3%, 1.9%로 전년동월대비 0.5% 포인트, 0.3% 포인트 올랐다. 다른 지역들도 사정은 비슷하다.

전반적으로 경제가 탄력을 상실한데는 건설경기의 침체가 주요인이다. 특히 건설업체의 경영난, 신규 수주물량 급감이 지역경제를 수렁에 빠뜨리고 있다. 전체 11만2910가구의 미분양중 8만6811가구가 지방에 적체돼 있다. 미분양은 양도세 감면 연장 등 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부산 일부를 제외하고는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주택업계는 지방 미분양주택에만 17조원이 넘는 자금이 묶여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더욱이 문제는 올 들어 발주물량 감소에 따른 수주감소폭이 크다는 것이다. 최근 통계청 집계결과건설업계는 지난 2월 전년 동월대비 6.7% 줄어든 4조615억원을 수주한 데 이어 3월 -25.3%, 4월 -14.6% 등으로 건설공사 수주 감소폭이 현격하다.


특히 건설업체의 연쇄부도도 지방경제 침체에 직격탄이 되고 있다. 지방 건설업체들은 주로 대형건설사 하청구조로 이뤄져 있어 건설업체 부도는 곧바로 지방경제를 얼어붙게 한다. 이런 상황에서 금융기관들이 이달말 신용위험평가를 완료하고 대규모 퇴출을 예고하고 있다.


따라서 구조조정 대상으로 지목되는 건설업체들로 인해 지역경제는 비상이 걸렸다. 금융기관은 물론 건설업계 내부에서도 금융기관들이 부실채권 규모를 크게 감축시켜 놓은 상태여서 지난해와 달리 엄격한 잣대를 들이댈 것으로 보고 있다. 건설사 퇴출 규모는 예상외로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20여개에 이르는 건설업체들이 퇴출 대상으로 몰릴 수 있다는 얘기마저 공공연히 나돌고 있다.


더욱이 남양건설과 금광기업의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신청은 물론 성지건설의 1차부도 등으로 주택전문 건설사 외에 토목업체들도 예외가 아닐 것이란 지적에 건설업계는 물론 연관산업계마저 폭풍전야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민형 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의 전후방 연관산업이 광범위하다보니 이번 신용위험평가 결과는 가뜩이나 침체된 지방경제에 더욱 주름살을 지우게 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건설업체들이 잇따라 퇴출될 경우 협력업체는 물론 레미콘과 철강재 유통상 등 제조업과 유통업 등이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또한 지방의 고용창출원이 벼랑끝에 내몰리며 일자리 또한 급작스럽게 급감할 전망이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소민호 기자 smh@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