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D-5]'수도권 與 강세-경남·충남 초박빙' 16개 시도지사 판세는?

[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6.2지방선거가 D-5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지역별로 여야의 우열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아시아경제를 비롯한 주요 언론의 여론조사 결과, 한나라당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빅3와 영남지역 등 8개 지역에서, 민주당은 텃밭인 호남 3개 지역에서, 자유선진당은 대전 1곳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다. 충남과 경남은 이번 지방선거 최대 격전지로 떠오르면서 초박빙 승부가 이어지고 있고 제주와 충북도 접전 양상이다.


◆'최대 승부처' 수도권, 한나라당 강세 지속

지방선거 최대 승부처인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빅3 지역은 한나라당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번 선거는 현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라는 점에서 수도권 지역은 여야의 치열한 접전이 예고됐지만 '천안함 침몰'이라는 메가톤급 이슈가 두 달 이상 선거판을 휩쓸면서 예상외로 싱거운 승부가 날 수도 있게 됐다 .


지난 15일, 22일, 26일 3차례에 걸친 본지 여론조사에서도 이같은 현상은 두드러졌다. 오세훈(서울), 김문수(경기), 안상수(인천) 등 한나라당 후보들은 지난 15일 조사에서 야권의 후보단일화 효과의 여파로 한명숙(서울), 유시민(경기), 송영길(인천) 등 야당 후보들에게 거센 추격을 허용했지만 이후 조사에서는 지지율 격차를 벌렸다. 오세훈-한명숙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20%포인트 이상으로 확대됐고 김문수-유시민 후보의 지지율 격차도 10% 포인트 안팎으로 벌어졌다. 인천은 서울, 경기에 비해 지지율 격차가 크지 않지만 안상수 한나라당 후보가 송영길 민주당 후보를 앞서고 있다.

한나라당은 수도권의 우위를 바탕으로 굳히기 전략에 돌입했다. 야당은 수도권 열세를 인정하고 한명숙, 유시민, 송영길 등 범야권 단일후보가 MB심판을 호소하는 등 막판 뒤집기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천안함발(發) 북풍의 효과가 예상 외로 컸다"면서 "선거 막판 돌발 변수가 없다면 한나라당의 우세 구도는 투표일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경남-충남 최대 격전지 부상...여야 텃밭 영호남 수성 장담


수도권에 이어 최대 격전지로 떠오른 경남과 충남지사 선거는 막판까지 우열을 가리기 힘든 초박빙 승부가 이어지고 있다. 경남은 이달곤 한나라당 후보와 친노 무소속 김두관 후보의 피말리는 접전이 계속되고 있다. 충남 역시 안희정 민주당 후보와 박상돈 자유선진당 후보의 예측불허의 승부가 이어지고 있다. 두 지역에서 지지율 격차는 5% 이내에 불과해 투표함 뚜껑을 열기 전까지는 결과는 장담하기 힘들 정도다.


영호남 지역은 정치적 텃밭을 자처하는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강세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김관용(경북), 김범일(대구), 박맹우(울산), 허남식(부산) 후보가, 민주당 역시 강운태(광주), 박준영(전남), 김완주(전북) 후보 등이 60% 안팎의 압도적 지지를 얻고 있다. 라이벌 후보와의 경쟁이 무의미할 정도로 당선을 이미 예약해놓은 상태다.


아울러 대전은 염홍철 선진당 후보가 박성효 한나라당 후보를 10% 포인트 이상의 안정적 격차로 앞서가고 있고 충북은 정우택 한나라당 후보가 이시종 민주당 후보를 10% 포인트 안팎의 격차로 누르고 있다. 제주는 무소속 우근민, 현명관 후보의 1, 2위 싸움이 치열하고 강원도는 이계진 한나라당 후보가 이광재 민주당 후보를 10% 포인트 이상의 격차로 앞서가고 있다.


정치컨설팅업체 포스커뮤니케이션의 이경헌 대표는 "여야 후보들의 격차가 벌이지면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야당 지지층이 투표를 포기하는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면서 "지금 상황에서는 특별한 반전의 계기가 없다. 정권심판론에 동의하는 기존 야당 지지층의 득표율 제고 정도가 선거막판의 변수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여야 지도부는 부동층 표심 공략과 지지층 결집을 위해 대규모 유세전에 나선다. 정몽준 대표 등 한나라당 지도부는 비상등이 켜진 경남 지원유세에 나섰고 민주당도 열세에 놓인 수도권 판세를 뒤집기 위해 정세균 대표 등 지도부가 총출동, 총력전에 나섰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김성곤 기자 skzero@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