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도시정비협회' 출범.."조합원 위한 정비업 이루겠다"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정비사업전문관리업체들의 법정협회가 출범한다.


사단법인 형태로 정비업체들을 대표하던 단체가 법정협회로서 위상이 강화됨에따라 정비업체들의 부정적 이미지를 벗고 전문적 경험과 실적을 쌓아 조합원과 공공을 위한 업계로 변모하겠다는 포부다.

19일 오후 5시 서울 신촌 거구장 2층에서 사단법인 한국도시정비전문관리협회(중앙회장 윤도선)는 141개 정비업체 대표들이 참석하는 가운데 '한국도시정비협회' 창립 발기인 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의재 의원(전 서울시 부시장), 임태모 국토부 주택정비과장, 권창주 서울시 주택정비과장, 전연규 한국도시개발포럼 대표 등도 내빈으로 방문했다.

이번 발기인총회는 지난 3월18일 국회를 통과하고 4월15일 공포된 개정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것이다. 개정법률 제74조의4에서는 '정비사업전문관리업의 전문화와 정비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정비사업전문관리업자단체를 설립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정비사업전문관리업자에 대한 실적보고나 등록기준 준수여부 확인과 같은 최소한의 관리감독도 이뤄지지 않았고, 시공사와 결탁하는 등 페이퍼컴퍼니, 부적격 업체가 난립하면서 정비업계의 부정적인 이미지는 커져만 갔다.


발기인대표를 맡은 협회 윤도선 중앙회장은 "협회의 법정화는 협회의 위상이 강화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그동안 하는 역할에 비해 폄훼돼 온 도시정비업체가 비로소 역할에 맞는 지위를 회복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협회가 중심이 돼 전체 도시정비업체의 활성화와 발전을 도모하고, 나아가 도시정비사업이 원활하고 투명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의재 의원은 "도시정비협회 법정화로 도시정비사업 패러다임을 바꾸는 역할을 기대하게 됐다"면서 "자본금, 사업실적, 경영실태 등 정보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정비업체들의 옥석을 가리고 부적격 기업 난립으로 인한 부정적 이미지 해소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이날 참석한 정비업체들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이 70%가까이 차지해 있었다.


서울에서 정비사업관리업을 하고 있는 이강욱 SPK 도시정비 상무는 "그동안 페이퍼컴퍼니 난립하고, 서로 제살깎기 경쟁이 심했다. 입찰하는데도 제대로된 평가기준이 없었다"면서 "법정협회 설립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이 해소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사업시행인가를 앞둔 중랑구 면목4구역 사업의 정비업체이자 의정부 간음동 등 5~6개 사업을 추진중인 알파프로젝트의 김대기 회장은 "공공관리자제도로 사업비용 리스크를 완화할수 있는데, 서울 뿐 아니라 경기도에서도 빨리 도입되길 바라지만 자금부족으로 아직까진 어려운 실정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방에서 올라온 정비업체 관계자들을 통해 수도권과 지방에서의 정비업계의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남 순천 업체인 섬진산업개발의 박석기 대표는 "지방 미분양 문제와 함께 재개발 등 정비사업 물량의 5분의 4가 수도권에 몰려 오히려 지방 정비업체들은 시공사를 모셔야하는 실정"이라면서 "더욱이 자금을 정비업체에서 대야해 비용적으로 리스크가 크고 저가경쟁도 심해 지방업체들은 더 힘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표는 이어 "이번에 법정협회로 되면서 지방업체들의 권익도 고려해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앞으로 이 협회는 ▲정비사업전문관리업 조사연구▲협회 회원의 상호 협력증진을 위한 업무 ▲정비사업전문관리 기술 인력과 정비사업전문관리업 종사자의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 및 연수 ▲정비사업전문관리업 정보종합관리체계의 구축 운영 등의 역할을 해 나갈 방침이다.


오는 7월 한국도시정비협회는 창립총회를 통해 정관 확정안을 상정하고, 이때까지 회장, 임원 후보를 추대받아 총회때 인준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오진희 기자 valer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