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민주-민노-참여, 연대 협상조건 놓고 샅바싸움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이 야권연대 협상 시한을 넘기면서도 유리한 조건을 얻기 위해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6·2 지방선거에서 여당에 맞서 야권연대로 승부수를 던지겠다는 초유의 정치 실험은 20일 마지막 협상 결과에 따라 성패가 갈릴 전망이다.


지난해 12월부터 논의가 시작된 야권연대 협상은 이제 경기도지사 단일화 방안과 호남지역 협상 두 가지 쟁점만 남은 상태다. 경기도지사 경선 방안은 민주당과 참여당이, 호남지역 배분 문제는 민주당과 민노당이 막판 샅바싸움을 벌이고 있다.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진통을 거듭한 경기도지사 단일화 방안은 지난 16일 협상에 참여한 시민사회 진영이 제시한 중재안으로 접점을 찾은 듯 보였다.


그러나 참여당은 50%가 반영되는 여론조사 질문 문항과 선거인단 연령별 할당을 20년 단위가 아닌 10년 단위로 세분화할 것을 요구하면서 다시 교착상태로 빠졌다. 참여당 측은 2002년 노무현-정몽준 후보 단일화 당시에 설계했던 사례를 제시하면서 "김문수 한나라당 후보와 맞서 김진표 후보와 유시민 후보 중 누가 더 경쟁력이 있는가"라고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지난 16일 잠정 합의한 방식대로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합의한 뒤 또 다시 합의를 요구하는 방식으로는 결론을 도출하기 힘들다"며 "선거인단 경선을 치르기 위한 마지노선이 다음달 2일이기 때문에 더 이상 늦출 수 없다"고 말했다.


또 호남지역의 경우 민노당은 전남 순천과 광주 서구 또는 북구 등 기초단체장 2곳과 광역 및 기초의원을 추가로 요구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기초단체장 1곳만 양보하겠다며 맞섰다.


각 당이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면서 물러설 기미를 보이지 않자 시민사회 진영에서는 다시 중재안을 제시했다. 경기도지사 단일화 방안으로는 한나라당 후보를 상대로 한 경쟁력을 묻는 방식으로 선거인단을 기존의 3만명에서 2만명으로 하고 10%를 시민사회 진영에서 추천하는 경기도민을 우선 배정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와 함께 호남의 경우 기초단체장 2곳을 민주당이 후보를 내지 않는 방안을 제안했다. 시민사회 진영은 20일 오전까지 이같은 중재안을 중심으로 각 당이 내부 논의를 거쳐 최종 수용여부를 밝힐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각 당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어 협상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여기에 민주당 내부의 교통정리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광주 서구 당원들이 19일 영등포 당사를 항의방문한데 이어 일부는 지역 사무실에서 농성에 들어갔다. 또 민주당이 양보하기로 한 수도권 지역 당원과 예비후보들도 국회와 당사를 항의 방문하는 등 내부 갈등도 심화되고 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김달중 기자 dal@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