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C";$title="";$txt="";$size="504,718,0";$no="2010041401455732678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경제 고경석 기자]최고령 신인감독, 이상우 감독은 스스로를 가리켜 그렇게 말했다. 우리 나이로 올해 예순인 이상우 감독은 '작은 연못'으로 첫 영화를 마쳤지만, 연극 무대에서는 32년간 연출자로 활약해온 베테랑 중 베테랑이다. ‘칠수와 만수’ ‘늙은 도둑 이야기’ ‘비언소’ 등이 그의 작품이다.
영화 '작은 연못'은 이상우 감독에게 외도처럼 보이지만 예정된 수순이기도 했다. 이상우 감독은 아시아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오랫동안 연극을 해와서 영화를 잘 모른다고 생각하겠지만 영화와 떨어져서 산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감독은 "영화에 대해 평소 관심이 많았기도 했고 주위에 영화를 하는 친구들이 많았다"면서 "박광수 여균동 장선우 감독은 친구이거나 후배여서 영화에 관해서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많이 나눴다"고 밝혔다. 이장호 감독의 제안으로 15년 전쯤 감독 데뷔할 뻔한 일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상우 감독은 당초 '작은 연못'에 시나리오 작가로 참여했다. 쓰고 고치고를 반복하던 중 1년 반쯤 지난 뒤 제작자가 연출을 맡으면 어떻겠냐는 제안에 결국 감독의 자리에 앉게 됐다. 연극 출신 늦깎이 감독으로서 영화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는 늘 고민거리였다. '어차피 영화를 잘 만드는 사람만큼 못할 것이라면 기존의 영화적 관습이 아닌 다른 방법을 택하자'는 생각에 그는 상투적이고 장식적이지 않은 방식을 택했다.
'작은 연못'은 주인공이 없는, 혹은 모든 사람이 주인공인 영화다. 단 한 줄의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을 만큼 영화는 단순하고 간결하다. 미군으로부터 피난을 떠나라는 말을 듣고 길을 나선 주민들이 어이없게도 미군으로부터 학살을 당한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발생했던 어처구니 없는 이 사건은 오랫동안 한국과 미국 양국에 의해 은폐됐으나 결국 AP통신의 기자에 의해 세상에 폭로됐다.
'작은 연못'은 100명이 넘는 배우와 스태프가 무보수로 참여해 완성됐다. 문성근 송강호 문소리 유해진 등이 버선발로 달려와 카메라 앞에 섰다. 워낙 서로 친한 배우들이 한 자리에 모인 덕에 배우들과 스태프들 모두 소풍을 나온 듯 즐겁게 촬영을 마무리했다. 배우들이 직접 고기와 막걸리를 싸와서 한여름의 힘든 촬영을 이겨냈다.
"나중에 보니 배우들끼리 서로 농담을 하더군요. 하루 찍고 가면 왕족, 며칠간 촬영하면 귀족, 계속 현장에 있으면 노예라고요. 그래서 송강호는 왕족, 문소리는 귀족, 문성근은 노예라는 말이 나왔어요."
이상우 감독은 '작은 연못'에 대해 "전쟁은 최악의 선택이라고 말하는 영화"라고 소개했다. 양민을 학살하는 미군의 모습이 담긴 이 영화는 은연 중에 총을 든 미군 역시 무고한 청년들이라고 말한다. 총에 맞아 죽는 사람들도, 이유도 모른 채 방아쇠를 당겨야 했던 군인들도 전쟁의 희생자들인 것이다.
이상우 감독은 '작은 연못'의 결말에서 다시 희망을 이야기한다. "저녁 해가 넘어가는 것은 내일이 온다는 것을 의미하고 계절이 바뀐다는 것은 세대가 바뀐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아이들이 전쟁을 선택하지 않는 세상이 오면 좋겠다는 단순한 제안이 들어있다"고 설명했다. '작은 연못'에서 이상우 감독이 웅변하는 메시지는 그의 목소리처럼 조용하지만 묵직하다.
$pos="C";$title="";$txt="";$size="504,354,0";$no="2010041401455732678_2.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고경석 기자 kave@asiae.co.kr
사진 박성기 기자 musictok@
<ⓒ아시아경제 & 스투닷컴(stoo.com)이 만드는 온오프라인 연예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