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일본서 인기끄는 기발한 실버상품은 무엇?

고독사 방지 서비스·소변흡인로봇 눈길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고독사(孤獨死) 방지 서비스', '소변흡인로봇', '시니어용 난간'….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일본 실버시장에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상품들이다.

코트라(KOTRA)는 ‘일본 실버산업 현황과 비즈니스 기회’ 보고서를 통해 일본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실버상품과 우리 기업의 유망 진출분야를 제시했다.


일본에서는 요즘 '고독사 방지 서비스'가 등장했다. 독거노인 많은 상황에서 혼자 숨을 거두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집안의 전기사용량, 온도변화, 창문의 개폐상황 등 독거노인의 생활리듬을 인터넷사이트로 표시해 외부인이 메일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일본 유니참휴먼케어(Unicham Human Care)사는 '휴머니(Humany)'라는 소변흡인로봇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이 제품은 기저귀에 부착된 채뇨(採尿)패드가 소변을 감지하면 펌프가 작동해 소변을 흡수하도록 했다.


시니어용 난간도 눈길이다. 일본의 한 지방 기업이 개발한 제품으로 일직선인 기존 난간의 경우 손힘이 부족한 노인들에게 불편하다는 점에 착안해 물결 모양의 난간을 개발했다. 지난 2004년 상업화 된 후 불과 3년 만에 약 4만 건의 시공실적을 기록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쉽게 넘어지고 쉽게 골절되는 고령자를 위한 ‘뼈(骨)가드’라는 속옷도 등장했다. 이 제품은 넘어질 때의 충격을 절반에서 3분의1까지 흡수해 골절을 방지한다.


이밖에도 GPS 기능 등이 갖춰진 고령자용 휴대폰, 고령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치유용 로봇, 발열 부분에 손이 닿기 어렵게 만든 다리미, 생각으로 조종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 등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한편 보고서는 일본 실버시장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한류를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일본 시니어 여성들이 한류와 관련해 지출하는 돈은 수 백 억엔 규모로 추정된다. 시간적 여유가 많은 일본 고령층이 한류붐을 타고 한국 관광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에게 한식체험과 의료서비스가 부가된 상품을 개발한다는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했다. 또 일본인들이 최근 들어 한의학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이용해 한의학, 한약, 한방 화장품의 일본 진출도 유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도 고령자용 완구, 자동배설처리장치, 연하장 편집 소프트웨어 등 한국의 IT 기술을 활용한 고령자용 제품 개발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정현 코트라 일본사업단장은 "일본 실버시장 규모가 올해 810조원 규모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한류와 IT 등 응용기술을 잘 활용한다면 진출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