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베이비부머 은퇴쇼크

[아시아경제 김양규 기자]우리나라 경제 성장의 주역인 베이비부머(55~63년생)들의 대량 은퇴시기가 다가왔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오는 2011년 정년퇴직(55세 정년)을 앞둔 임금 근로자는 700여만명으로, 매년 20만명 이상이 은퇴연령에 도달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

이 처럼 은퇴쇼크가 다가왔지만 노후에 대한 준비는 잘돼 있을까. 많은 전문가들에게 의견을 구한 결과 분명한 건 부족한 상황이라는 게 중론이다.


지난해 모 보험사가 자사 연금보험 가입고객 중 44~52세인 베이비부머 22만 명의 가입실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베이비부머들의 노후준비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1인당 개인연금 불입액을 보면 26만원. 이는 2006년 통계청이 발표한 도시근로자 가구 가계지출(평균 260만원)의 10% 수준이다.


더구나 전문가들은 평균수명 연장으로 이들의 노후생활기간을 30년으로 보고 있다.


또한 필요한 자금은 5억~10억원으로 추정되나 일부 부유층을 제외한 대부분은 부동산과 자녀교육에 올인한 결과 정작자신들의 노후 대비 자산은 부족하다고 조사된다.


현재 국민연금과 퇴직금만으로 노후를 제대로 준비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하면 이들이 중심이 돼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않다.


이런 점에서 호주정부가 운영하고 있는 연금제도 방식은 좋은 사례일 듯 하다.


호주는 지난 30년간 퇴직 연금제도 개혁을 통해 3층식 연금 구조를 구축해 은퇴 후 돈 걱정을 해소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정부 주도의 강제적 퇴직연금제도에 주목할 만한 점이 있다. 이 제도는 근로자 월급 일부(9%)를 징수해 퇴직연금 재원으로 적립한다.


우리나라 국민연금과 유사한 성격이다. 하지만 명확히 틀린 점이 있다면 위탁자인 국민이 자산을 굴릴 수탁자를 직접 선택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연금제도를 통해 노후 재원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국민연금에 대한 국민들의 시선은 곱지 않고 논란도 많았다. 노후에 대한 불안도 해소되지 않는다. 방법 없을까.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김양규 기자 kyk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