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조선사 수주급감 타격
대우조선·한진중 등 대형 조선사는 인력 구조조정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극심한 경기침체로 수주 불황을 겪은 국내 조선업계가 연말 구조개편 및 희망퇴직 실시 등 내년 업계 전반에 걸친 대규모 구조조정을 실시할 것이라는 분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8위 조선사인 SLS조선(옛 신아조선)은 지난 17일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예비 경영 정상화 방안 등을 포함한 기업 회생절차(워크아웃)를 신청했다.
SLS조선은 사적 화의를 통해 일부 채무 조정을 진행하려 했지만 채권단 전체의 동의를 얻는 데 실패해 채권단 75% 이상 동의를 요건으로 하는 워크아웃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산은 등 채권단은 다음달 말까지 SLS조선의 신용등급을 재평가해 워크아웃 개시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신용등급이 C 이상으로 판정나면 곧바로 워크아웃이 개시되지만 D등급으로 판정나면 퇴출이나 법정관리 절차를 밟아야 한다.
◆수주급감 따른 자금악화 요인= SLS조선은 올해 들어 수주 물량이 급감하면서 선박 건조에 필요한 선수금 수입이 없어진 데다가 기존 건조중인 선박에 대한 건조 대금 유입도 지연되면서 심각한 자금악화 상태에 놓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회사 경영진들이 비자금 혐의로 검찰에 수사를 받는 영업활동에 어려움을 겪으며 결국 워크아웃 신청이라는 최악의 상황으로 몰렸다.
지난 1946년 6월 최기호 조선소로 출발한 후 1976년 신아조선공업로 상호를 변경해 경남 통영에 자리를 잡은 SLS조선은 1978년 대우그룹에 편입됐다가 1991년 12월 전사원 주주회사인 신아조선으로 재탄생했으며, 1998년 1월 (주)신아로 상호가 변경됐다가 2006년 4월 신아조선으로, 같은해 8월에는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됐다.
SLS조선은 중형 신조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회사로 잘 알려졌으며, 모든 주식을 전 사원이 함께 소유함으로써 노사간의 사소한 분쟁도 없었던 점을 강점으로 내세웠으며, 특히 한 경제지로부터 국내 1000대 기업중 지난해 순이익 증가율 1위 업체로 선정되기도 했다.
SLS조선에 앞서 중소 조선사중 대한조선, TKS, 세코중공업 등이 워크아웃을 진행 중이며,진세조선 ,녹봉조선 YS중공업 등은 채권단으로부터 워크아웃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C&중공업은 사실상 퇴출 단계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00년대 들어 업황 호조가 지속되면서 수많은 업체들이 과잉 투자를 집행한 후유증이 본격화 되고 있는 것이다.
◆대형 조선사도 위험= 대형 조선사들도 상황이 좋은 편은 아니다. 한진중공업은 최근 대형 조선사로는 처음으로 희망 퇴직제를 실시했다.
한진중공업 노동조합에 따르면 사측은 최근 노조에 공문을 보내 갖가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영악화 상황이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아 부득이하게 ‘조선부문 직원의 희망퇴직제’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인원 규모는 밝히지 않고 있지만 지난 14일부터 23일까지 접수를 받은 후 오는 31일 희망퇴직을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사측은 희망 퇴직자에게 퇴직위로금 명목으로 정년퇴직 잔여기간과 근속연수 기준으로 6~15개월의 임금을 지급하겠다는 방침이다.
건설부문의 실적이 좋아 조선 부문에서 받은 희망퇴직자의 일부를 건설로 전환 배치하는 방안도 검토하겠지만 희망퇴직자의 규모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강제 인력 구조조정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는 게 사측의 입장이다.
이에 대해 노조는 희망퇴직이 사측의 일방적인 통보에 의한 것이라며 부분파업으로 맞대응에 나서는 등 노사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주채권은행이 매각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대우조선해양도 노조가 투쟁노선을 돌입하는 등 매각 후 구조조정에 대비한 고용보장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며, 새로 출범한 현대중공업 노조도 내년 이후 고용안정에 노조 활동에 최우선 활동 과제로 밝히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한진중공업과 SLS조선은 최근 조선업계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중 하나”라면서 “현재로서는 구조조정 밖에는 뚜렷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여러움은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채명석 기자 oricm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