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교과부, 2015년까지 기술지주회사 50개 설립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교육과학기술부가 오는 2015년까지 50개의 기술지주회사와 550여개의 자회사를 설립해 3조3000억원의 매출과 1만여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했다.


안병만 교과부 장관은 16일 한양대학교에서 서울대, 한양대, 삼육대, 서강대, 경희대, 강원대학연합, 인천대 등 7개 대학 기술지주회사 CEO들과 간담회를 갖고 대학기술기반 벤처 육성을 통해 경제살리기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안 장관의 주재로 열린 이날 간담회에는 7개 대학 기술지주회사 CEO들이 참석해 이원근 교과부 학술정책관의 '대학기술기반 벤처육성방안'에 대한 설명을 듣고, 기술지주회사 제도의 개선 및 설립 촉진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기술지주회사는 지난 2008년 1월 개정된 '산업교육진흥과 산학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학의 산학협력단이 기술 및 현금을 출자해 설립한 법인이다.

교과부에 따르면 지금까지 한양대학교 기술지주회사를 시작으로 총 8개 대학의 기술지주회사와 17개의 자회사가 설립됐으며, 이들 기술지주회사에는 현금 및 현물을 포함해 250여억원이 출자됐다.


교과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제시된 요구사항을 적극 수용해 정책에 반영하고, 기술지주회사 설립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도 강구할 예정이다.


우선 커넥트코리아(Connect Korea) 사업인 선도 TLO(Technology Licence Office: 기술이전전담조직) 육성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2단계 사업이 시작되는 2011년부터 지원 금액을 현재 60억원에서 200억원 규모로 확대하고, 지원대학도 현재 18개 대학에서 80개 대학으로 늘릴 계획이다.


아울러 기술지주회사의 설립 활성화를 위한 재정적 지원방안도 모색된다. 교과부는 2010년부터 10여개 대학의 기술지주회사에 대학당 연간 5억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할 방침이다. '산업교육진흥과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 등 기술지주회사에 대한 규제완화도 추진될 예정이다. 우선 대학의 산학협력단이 기술지주회사 출자시 기술(현물) 출자 비율을 50% 초과토록 돼 있는 현 요건을 30%로 낮출 예정이다.


또한 자회사의 기술 및 경영자문, 기술이전 및 사업화 등에 한정돼 있는 기술지주회사의 사업범위를 기술이전(Licensing), 창투조합 출자, 기업컨설팅 등 일부 영리업무로도 확대해 자립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기술지주회사 지원단을 한국연구재단에 설치해 기술지주회사를 준비중이거나 설립된 대학에 대해 컨설팅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