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與, 세종시 수정안 발표 연기요청 왜?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한나라당이 4일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발표 시기를 내년 1월로 연기할 것을 공식적으로 요청해 정부의 수용 여부가 주목된다.


그동안 수정안 마련 시기를 앞당겨 사회적 갈등을 조기에 봉합해야 한다는 기존의 입장에서 변화한 것.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대안의 내용을 더욱 충실히 해서 내년 1월초로 발표 시기를 조정하는 것이 더 좋겠다"며 "정부에 요청을 하겠다"고 밝혔다.


안 원내대표는 발표 시기 조정 이유로 "최근 한나라당 내에서 이른바 세종시 문제에 여러 가지 얘기가 보도 되고 있다"면서 "말하자면 정부에서는 '하나도 안 갈수도 있고, 다 갈 수도 있다'는 발언이 나왔고, 또 한나라당 일부 의원들이 '설득해서 안 되면 원안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그런 사견을 내놓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정운찬 국무총리가 최근 관훈클럽에서 "모든 가능성은 열러 있다. 하나도 안 갈 수도 있고, 다 갈 수도 있다"고 한 발언이 여당의 정부에 대한 불신을 떨쳐버리지 못하게 하고 있다. 정부의 수정안 발표가 열흘 앞으로 다가왔지만 이렇다 할 청사진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여기에 최근 송석구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 공동위원장이 친이계 모임에서 세종시 기업유치 문제에 대해 "아직까지 하나도 유치된 게 없다"고 밝힌 것도 이러한 불신을 증폭시켰다.


안 원내대표가 "정부는 불필요한 발언으로 정치적 논란을 유발시키지 말고 세종시 문제에 대한 국민설득에 주력해주기를 바란다"고 주문한 것도 이 때문이다.


또 내년도 예산안을 처리하게 될 12월 임시국회 의사일정도 여당에게 적잖은 부담이 되고 있다. 자칫 정부의 세종시 대안이 '설익은 밥상'이 될 경우 정쟁의 불씨가 돼 야당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명박 대통령의 '대통령과의 대화' 이후 당내 논란이 가라앉지 않는 것도 고민거리다.


친박계의 입장 변화가 없는데다, 최근 친이·친박계 양 진영이 간담회와 토론회를 잇달아 열면서 서로의 간극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완구 충남도지사의 도지사직 사퇴 이후 충남도의원 20명 전원이 동반 사퇴의사를 밝히는 등 한나라당 소속 지방의원들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는 것도 세종시 속도전에 제동을 걸고 있다.

김달중 기자 dal@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