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숨은 투자의 거장들③]대박과 파산 '비운의 큰손'

월스트리트 최고의 투기꾼 '제시 리버모어'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며칠 전 우리 증시에서 갑자기 철도 관련주들이 급등했다. 배경은 워렌 버핏이 미국의 유명 철도 회사를 약 51조원에 매수한다는 소식이었다. 한 명의 투자자가 미국의 미래에 베팅하자 뉴욕증시가 상승했으며 태평양 건너 우리에게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 직접적인 연관성 보다는 기대감이 크게 작용한 모습이었다. 단 한 명의 거물 투자자의 힘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힘을 버핏은 다시 한 번 보여줬다.

심리가 크게 작용하는 주식시장에는 이런 일이 자주 발생한다. 100여년 전 미국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1907년 미국 증시는 금융사들의 신용위기로 주가 급락 사태를 맞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당시 금융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던 J.P 모건은 갓 30살이 된 한 젊은이를 찾아가 공매도를 멈출 것을 요청한다. 그 사람은 요청을 받아들였고 매도에서 매수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시장은 반등하기 시작했고 그는 하루 만에 다시 3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그가 바로 월스트리트 역사상 최고의 투기꾼이라 불리던 제시 리버모어였다.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리버모어는 아버지가 초등학교도 중퇴시키고 농사를 짓게 하자 14세가 되던 해 단 돈 5달러를 들고 가출한다. 보스턴으로 간 그는 증권회사에 취직하고 다음 해부터 사설 증권사를 돌며 주식을 시작한다. 주식의 패턴을 기록해 분석하던 그는 자신만의 노하우와 원칙을 세우고 이를 초단타거래에 이용해 20세 무렵까지 1만 달러를 벌게 된다. 그러자 증권사들은 그를 꼬마 노름꾼이라 부르며 출입을 아예 금지시킨다. 리버모어가 어린 나이에 보다 큰 물인 뉴욕시장으로 갈 수밖에 없었던 배경이다. 그 때가 20살이던 1897년 이었다.

뉴욕으로 간 제시 리버모어는 초기에는 손절매 타이밍을 놓쳐 여러 차례 실패했지만 공매도 위주의 고유의 투자기법이 발전하면서 보다 거물이 되는 기반을 마련한다. 그리고 10년 후인 1907년 미국 증시가 크게 하락하자 많은 돈을 벌고 월스트리트의 큰 곰(약세장 투자자)이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보스턴의 꼬마 노름꾼에서 드디어 월스트리트의 거물이 된 것이다. 가난한 농부의 아들이 세계 최고의 부자 반열에 들어서게 됐지만 행복은 오래가지 못했다.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남의 말을 듣고 면화선물에 투자했지만 크게 실패해 파산했다. 어떤 정보도 취하지 않는다는 자신의 원칙을 깨뜨린 대가였다.


원칙을 깨뜨린 대가는 컸으며 여기저기 돈을 빌리는 굴욕을 견디며 재기를 다짐한다. 재기의 기회는 전쟁에서 왔다. 제1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자 미국 증시는 다시 활기를 찾았고 그는 자신의 스타일을 되찾아 재기에 성공하게 된다. 그리고 1929년에 찾아온 대공황은 그를 월스트리트의 정점에 서게 만들어줬다. 몇 달 전부터 주가가 폭락할 신호를 감지한 그는 조용히 모든 주식을 처분하고 공매도로 포지션을 옮겨 놨다. 그리고 주가가 폭락한 겨우 며칠 동안 그는 1억 달러를 벌어들였다.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현재 가치로 따지면 2조원이 넘는 돈이다.


세계 주식시장의 정점에 섰지만 그의 행복은 또 다시 잠시였다. 사람들과 언론은 그를 대공황의 주범으로 몰아갔고 수없이 많은 살해 협박으로 인해 사설 경호원까지 고용할 지경에 이르렀다. 게다가 여러 번의 파산으로 인해 생긴 우울증(당시엔 우울증이란 병명도 없었다)과 불행했던 결혼생활 등이 겹쳐 그는 지쳐갔다. 삶에 지쳐가자 투기는 점점 힘들어졌다. 개인적 불행의 영향으로 원칙도 사라지고 의욕도 사라진 그는 불과 5년 만에 다시 파산한다. 우울증은 더욱 악화됐고 1940년 11월28일 권총 자살한다. 영화 같은 투기꾼의 삶이 영화처럼 끝나는 순간이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