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은행들 '미소금융재단' 설립 잰걸음

신한지주ㆍ국민銀 추진…지역 금융권은 아직



은행권이 저신용층 및 영세사업자들의 자활을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미소금융(무담보 소액대출)' 사업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다만, 지역 금융권은 오는 12월 출범하는 미소금융중앙재단에 일정금액 출연 및 기부 등을 논의하고 있을 뿐 별도의 재단설립 등은 검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지주는 500억원 규모의 '신한미소금융재단'을 설립키로 했다. 재단은 신한은행을 중심으로 신한카드, 신한금융투자, 신한생명 등 신한금융그룹의 모든 계열사들이 공동으로 출연해 설립되며 재단 운영은 주로 신한은행에서 맡는다.

이는 오는 12월부터 대기업, 은행 등 민간 기부금 2조원을 재원으로 저소득층에게 생계비나 창업자금을 낮은 금리로 지원하는 미소금융중앙재단과는 별개로 진행되는 것이다.


신한금융지주는 우선 서울을 중심으로 미소금융 사업을 전개하고 향후 지역으로 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신한금융지주는 또 미소금융 사업에 대한 일반 고객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미소금융재단을 후원할 수 있는 관련 상품 개발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KB국민은행도 저신용층과 저소득층, 영세자영업자 등 금융소외계층을 돕기 위해 100억원 규모의 'KB미소금융재단'을 설립한다고 이날 밝혔다.


KB국민은행은 이 재단을 앞으로 500억원 규모로 확대할 방침이다.


'KB미소금융재단'은 제도권 금융 접근이 어려운 금융소외계층에게 주로 사업운영자금과 창업자금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은행 측은 'KB미소금융재단'에서 대출 업무를 담당할 인력을 외부에서도 충원해 고용촉진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이밖에 하나은행은 지난해 9월 '하나희망재단'을 만들어 금융권에서 가장 먼저 마이크로크레디트 사업을 시작했다. 무담보, 무보증 신용대출을 통해 저소득층과 소외계층을 지원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 문턱도 넘지 못하고 가볼 엄두도 내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며 "앞으로 미소금융은 녹색금융과 함께 은행권의 주요 사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남일보 기수희 기자 hiyaa1020@gwangnam.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