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거물없는 10월 재보선, 막판 변수는..

[아시아경제 양혁진 기자]
10월 재보선의 뚜렷한 특징은 전략공천이 배제된 풀뿌리 선거 양상이다.


박희태 한나라당 전 대표가 양산에 출마한 것을 제외하곤, 당초 예상과는 달리 손학규, 김근태, 강재섭등 후보 물망에 올랐던 원외 거물들이 모두 출마를 접었다.

외부적으론 거물들의 불출마로 다소 싱거운 선거전 양상이 됐지만, 내부의 싸움은 한층 치열해졌다.


한나라당은 이명박 대통령의 친서민 정책등으로 치솓은 지지율을 바탕으로 당초 열세가 예상됐던 수도권도 넘보고 있으며, 민주당 등 야당은 최근 쟁점으로 떠오른 정운찬 발 세종시 논란과 국정감사를 통해 반격의 교두보를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한나라당은 집안 단속이 여전히 당면 문제다.


경남 양산에 출마한 박 전 대표도 대세론으로 막판 표몰이를 자신하고 있지만, 김양수 전 의원에 이어 친박계로 분류되는 유재명 예비후보도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면서 목에 걸린 가시가 됐다.


한나라당 세가 워낙 강한데다 막판 표몰이가 가능하다는 판단이지만 안심하고 있을 수만은 없는 형세다.


2강으로 분류되는 박 전 대표와 김양수 전 의원의 인지도가 높아 1중으로 물러나 있지만, 송인배 민주당 후보가 어부지리 반사효과를 볼 수 있는 가능성은 확대된 모습이다.


송 후보측은 "여권내 후보가 난립하고 있지만 끝까지 완주하겠느냐는 의구심이 있다"며 "투표율을 올리고 민주 개혁 세력을 단일 대오로 만들면 승산이 있다"고 주장했다.


수원 장안도 박찬숙 전 의원이 치고 나가는 형세지만 민주당의 추격이 뻔한데다, 신현태 전 의원이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면서 복잡해지고 있다.


안산 상록을도 김석훈, 이진동 예비후보가 당 공천에 반발하고 있어 신경쓰인다.


반면 민주당은 손학규 전 대표가 출마를 고사한 것이 뼈아프다. 선거 전략이 뿌리부터 흔들렸지만 전열을 재정비하며 수도권 승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수원 장안에 이찬열 현 지역위원장을 확정했고 손학규 전 대표가 선대위원장을 맡아 전력을 쏟는다는 전략이다.


증평·진천·괴산·음성은 정범구 전 의원을 확정했지만, 안산 상록을은 진보진영 후보인 임종인 전 의원들과의 단일화가 여전히 관건이다.

양혁진 기자 yhj@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