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일본은행, 엔고시대 제동걸까

‘엔화 강세, 디플레이션 우려, 경제성장률 재후퇴’


이들 과제를 놓고 일본은행이 16, 17 양일간 열리는 정례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규모 수요와 공급의 격차를 배경으로 물가하락세가 길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엔화까지 강세를 보이면서 일본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엔화 강세로 주가가 계속 떨어질 경우 일본은행이 추가 금융완화를 단행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 비장의 카드는 = 현재 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일본은행이 엔화 강세를 꺾을 것인지 여부이다. 14일 도쿄 외환시장에서 엔화는 한 때 달러당 90엔대 초반까지 상승, 엔고 악재로 증시에서 닛케이225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42.27엔(2.3%) 급락한 1만202.06엔에 거래를 마쳤다.

그 동안은 지수가 1만엔대에 안착하면서 일본은행도 한시름 놓았다. 그러나 지속되는 엔화 강세로 관련 기업들이 타격을 입고 주가가 급락해 실적이 또 다시 악화하는 악순환이 계속되면 더 이상의 탁상공론은 통하지 않게 된다.


금융정책이 한계에 달한 일본은행의 입장에서는 난감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노무라 증권의 마쓰자와 다다시 수석 투자 전략가는 “경기 회복 속도가 더디고 물가하락이 가속화하는데다 엔화강세가 진행됨에 따라 일본은행의 추가 금융완화도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이는 일본은행이 최후의 카드를 꺼내들 수도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 弱달러도 문제, 대응은 = 엔화 강세의 가장 직접적인 요인은 ‘달러 캐리 트레이드’. 전문가들은 달러 캐리에 나서는 투기꾼들이 기승을 부리면서 달러가 쉽게 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그렇다면 일본은행은 지속적인 달러화 약세에 맞설 카드는 준비하고 있을까. 시장에서는 일본은행이 이에 대한 대응책도 고민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크레디트 스위스의 시라카와 히로미치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엔고 대책보다 우려되는 것은 달러화의 지속적인 하락에 대한 대응”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미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상 전망이 확실해질 때까지 달러는 계속 하락할 것”이라며 “그럴 경우 일본은행은 미국채를 직접 매입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처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시장의 기대와 달리 일본은행 심의위원인 스다 미야코(須田美矢子)는 최근 “기업어음(CP), 회사채 매입 등 12월까지 한시적으로 실시키로 한 일본은행의 금융지원책의 역할이 후퇴하고 있다”며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이들 조치를 종료하거나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낸 바 있어 일본은행 내에서도 혼선이 예상된다.


◆ ‘더블딥’ 적신호 = 한편 최근 일본 유력 인사들의 입에서 새어나오고 있는 ‘더블딥(경기상승 후 재하강)’ 경고도 일본은행에겐 고민거리다.


이들의 경고대로 겨우 회복기조에 오른 일본 경제를 다시한번 바닥으로 끌어내릴 악재들이 꿈틀거리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지난 2·4분기(4~6월) 국내총생산(GDP)은 전기 대비 연율 2.3% 증가로, 잠정치인 3.7% 성장에서 1.4%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2% 하락해 사상 최대폭 하락을 기록했고, 같은 달 실업률은 5.7%로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설상가상으로 엔화까지 80엔대를 위협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일본은행이 이번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0.1%로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차기 민주당 정권은 초저금리 정책으로도 출구가 보이지 않는 만큼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저금리 정책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일본은행의 고민이 갈수록 깊어질 수밖에 없는 것도 이 때문이다.

배수경 기자 sue6870@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