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우 믿고 살수 있어 가격도 올랐죠"

'쇠고기 이력제' 한달..공판장서 마트까지 동행취재
DNA채취 등 8단계 도축가공 신뢰 높여
휴대폰으로도 6626 누르면 쉽게 조회



“도축 이후 골발 등 가공단계에서 소가 섞이거나 바뀔 가능성은 없습니까?”
“한우 판별을 위한 DNA검사는 어느 과정에서 합니까?”

지난 29일 오전 8시30분, 경기도 부천축산물공판장을 찾은 하영제 농림수산식품부 차관은 농가로부터 운반된 한우의 도축 전 과정에서 한우가 뒤바뀔 우려가 없는지를 꼼꼼히 점검했다.


쇠고기 이력제의 핵심은 개별 사육 농가가 키운 한우가 도축 및 유통과정에서 바뀔 가능성이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차관은 이날 농협 부천공판장과 한우 사육농가, 수원유통센터를 차례로 방문해 쇠고기이력제의 단계별 이행 상황을 재확인했다.


국내에서 사육되고 유통되는 모든 소 및 쇠고기를 대상으로 출생에서부터 도축 가공 판매단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쇠고기 이력추적제가 실시 된지 한 달이 됐다.


사육농가의 경우 소가 태어나거나 거래되거나 폐사한 경우 지역의 위탁기관(축협, 낙농조합 등)에 30일 이내에 신고해야 한다.


위탁기관은 농가로부터 소가 태어났다는 신고를 받은 경우 ‘귀표’를 부착해야 한다. 소의 귀에 붙이는 귀표는 사실상 주민등록증 기능을 하며 도축되기 전까지 의무적으로 부착해야 한다.


도축업자는 귀표가 부착되지 않거나 훼손돼 개체 식별이 곤란하거나 이력추적 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은 소를 도축해선 안 된다.


현재 유럽연합(EU),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선진국에서 부분적으로 이력추적제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에서 유일하게 전 사육 농가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쇠고기 이력제의 조기정착을 위해 하영제 차관은 이른 아침부터 부천공판장을 찾았다.


1만 평 규모의 부천공판장은 하루 250마리의 한우와 1800마리의 돼지가 도축되는 경기도 지역에서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농가에서 실려 온 한우가 도축 및 가공되기까지 귀표확인 재조회, DNA채취, 지육라벨 부착 등 총 8단계를 까다로운 과정을 거친다.


쇠고기이력제가 실시되면서 도축 및 가공과정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생겼다.


우선 도축 전에 한우마다 빠짐없이 달린 귀표에 적힌 식별번호를 꼼꼼히 전산으로 입력해 기록으로 남긴다는 것이다.


김덕수 부천 공판장 생산부장에 따르면 개체식별번호 숫자 12자리에는 소의 종류-한우, 성별-거세, 출생일자, 소유자, 도축일자, 도축 검사결과, 등급 등의 이력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도축을 하고 나면 경매 장소로 이동해 바로 DNA 채취를 하게 되는데, 이때 쇠고기의 등급을 판정하고 채취된 샘플은 2년간 보장해 혹시 모를 한우 진위판정 시 증거로 활용하게 된다.


경매가 끝나면 부위별로 나눠서 포장을 거치는데, 이때도 과거와 달리 한 마디 당 가공단계를 마치고 난 뒤에야 다른 한우를 가공할 수 있게 과정을 바꿨다.


가공 과정에서 쇠고기들이 서로 섞이는 것을 막기 위함이란 게 김덕수 생산 부장의 설명이다.


하 차관은 마리 당 가공 단계를 거치다 보면 생산성이 떨어지거나 가공과정에 남아있는 쇠고기 조각이 섞일 가능성이 없는지에 대해 물었다.


이를 대비해 공판장에선 한 마리의 가공이 끝나면 세척과정을 통해 쇠고기 찌꺼기를 말끔히 치운다고 한다.


하지만 역시 마리당 가공으로 인해 생산성이 전 보다는 떨어지고 관리 인원도 더 많이 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1시간 여 동안 한우의 도축과정을 살핀 하 장관은 곧 바로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한우사육농가인 금강농장을 방문했다.


농장에서부터 정확하게 한우의 출생이력이 관리되지 못하면 쇠고기 이력제가 정착될 수 없기 때문이다. 소귀에 다는 인식표도 송아지 때부터 달아 관리해야 정확한 이력추적이 가능하다.


이병환 농장주는 6000평 규모에 한우 288마리를 키우고 있다. 이 농장주는 “현재 쇠고기 이력제가 실시된 이후 한우가격이 조금 올라 750kg 거세 1등급 한우의 경우 700만, 800만 원 정도를 받는다”고 말했다.


쇠고기 이력제 도입으로 수입 산이 한우로 둔갑하거나 2, 3등급 한우가 1등급으로 속이는 사례가 힘들어지게 되면서 한우 소비계층이 넓어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과거와 달리 한우가 제값을 받게 됐지만 사료비가 급상승해서 사실상 남는 게 없다는 것이다.


이 농장주는 “소에게 먹이는 배합사료가 포대 당 1만2000원 정도 하는데 10년 전에 비해 2배 이상 올랐다”며 “그렇다고 국민정서상 사료 값 인상분을 한우에 그대로 전이하기도 힘든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그는 사료비를 아끼기 위해 5000평 규모의 밭에 호밀, 수단글라스(수수) 등을 키워 배합사료와 함께 사용하는 편법을 쓰고 있다.


게다가 방앗간에서 나오는 ‘살겨’ 등 부산물을 사료 배합기를 사용해 사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는 “사료배합기도 한 대당 400만원의 고가이다 보니 한우 사육농가가 사용하는 곳은 많지 않다”며 “정부가 사료비용에 대한 지원책을 더욱 강화해줄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한우 사육농가의 민원을 들은 하 차관은 “한우의 경쟁력을 살리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 차관이 마지막으로 방문한 곳은 수원에 위치한 농협하나로 클럽이다. 그는 한우 쇠고기 안창살을 고르고 있는 주부에게 다가가, 직접 매장에 설치된 쇠고기이력추적시스템을 사용할 것을 권했다.


“여기 비닐 포장한 쇠고기 제품의 라벨에 표기된 것이 ‘개체식별번호’거든요. 이 번호는 소의 주민등록번호나 마찬가집니다.


화면에 등록된 번호를 누르면 이 쇠고기에 대한 중요 정보를 바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하 차관의 설명이 이어지고 쇠고기의 이력이 뜨자 처음에 낯설게 느껴졌던 이 주부도 신기한 듯 이력추적 단말기를 쳐다봤다.


하 차관은 “매장에 단말기가 없어도 휴대전화만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다”며 직접 6626번을 누르고 인터넷에 연결해 조회하는 방법도 시연했다.


특히 6626은 고기 육자를 써서 육육(66), 이력의 비슷 어감을 가진 이육(26)을 쓰게 된 사연도 함께 소개했다.


하나로 클럽에 대한 쇠고기이력제 이행여부를 꼼꼼히 살핀 뒤 별 문제가 없자, 하 차관은 “앞으로도 우리 쇠고기 관리를 잘 부탁한다”고 마트 관계자들에게 연신 당부한 뒤 자리를 떴다.


하 차관은 “현재 대형마트는 쇠고기 이력추적 단말기를 도입해 소비자들의 신뢰를 쌓아가는 등 확실하게 정착되고 있다며 이제는 일부 재래시장이나 영세 소형 정육점에도 쇠고기이력제가 완전히 뿌리를 내리도록 행정적 지원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홍보 및 계도기간이 끝나는 오는 9월부터는 개체식별번호 표시, 식육 포장처리, 소의 출생신고, 거래내역 기록 등을 위반할 경우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과태료가 부과할 게획이다.

이규성 기자 bobo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