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광원 표준' 국산화 성공

표준硏, 태양광 및 LED 평가 표준기 개발


한국표준연구원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과 인공태양광의 효율을 측정·평가할 수 있는 복사휘도·조도 표준기인 ‘크리스 라이즈(KRISS-RISE)’를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복사휘도 및 조도는 광원의 밝기과 양을 파장에 따른 분포로 나타내는 측정단위로 이에 대한 정확한 표준은 ‘광(光)’ 관련산업의 신뢰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표준연이 개발한 ‘크리스 라이즈’는 빛이 들어오는 양인 ‘분광복사조도’의 표준을 세계 최고수준인 250nm(나노미터, 1nm는 1m/10억)부터 2.5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m/100만)까지 확립했다.


현재 미국(NIST), 독일(PTB), 영국(NPL) 등 세 나라의 국가표준기관만이 이 수준의 표준기술을 쓰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표준으로 표준전구를 만들어 국가교정시험기관이나 태양전지, LED, 디스플레이 등 관련 산업체에 보급할 계획이다.


표준전구는 모두 수입에 의존해 왔으나 개당 100만∼200만원으로 비싸고 사용시간도 50시간에 그쳐 표준전구를 써야하는 관련업계가 큰 불편을 겪어왔다.


연구책임자 신동주 박사는 “이 장비는 우리나라 인공태양광산업의 신뢰도를 높이고 인공위성에 들어갈 표준광원과 카메라 성능 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최근 국내 반도체산업에서 활용도가 높아지는 자외선복사계 교정 등에도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