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투자 외면 절반 이상 단기금융상품으로
올 상반기 중 수도권내 택지개발 등으로 토지보상금이 10조원 가량 풀렸다.
그러나 토지보상금의 부동화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과거 풍선효과로 주변시장을 자극하던 것과는 전혀 딴판이다. 주로 금융권에 단기 자금 형태로 낮잠을 자고 있어서다. <관련기사 20면>
22일 국토해양부와 한국토지공사에 따르면 올해 서울·수도권에서 토지보상금 총액은 총 20조원 규모며 이중 절반인 10조원이 지급됐다.
주요 지구별로는 마곡지구(3조5000억원)·위례지구(1조5000억원)·양주 회천지구(1조2000억원)·동탄2지구(7조8000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이와 함께 검단신도시(5조2000억원)·평택 고덕지구(3조1000억원) 등이다. 여기에 오는 7월부터 4대강 살리기 사업 관련 토지보상금은 2조8000억원 규모다.
이 중 상반기에 풀린 10조원은 ▲ 금융권 단기상품 5조원 ▲ 수익형 부동산 3조원 ▲ 대토 등 기타 2조원 등으로 재투자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상금 수령자들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불어닦친 경기불황으로 보상금을 금융권에서 크게 움직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예전 같으면 60% 이상이 대토 등 토지시장에 재유입됐다”며 “지금은 일부 상가 및 오피스텔 등 임대수익형 부동산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움직임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이런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용인 및 안성, 인천 검단 주변 등의 토지시장은 '정중동(靜中動)'의 모습이다.
다만 상가, 오피스텔시장에만 국지적인 바람을 일으키는데 그치고 있다. 최근 4개월 간 판교신도시 주공상가 및 상업용지 등에 2000여억원이 한꺼번에 몰리기도 했다.
지난 17일 입찰에 부쳐진 판교 신도시 상업·업무용지의 전체 판매가격만 1336억원. 경쟁률도 10개 필지에 148명이 몰려 평균 14.8대 1을 기록했다.
이와 관련, 박상언 유앤알컨설팅 대표는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될 경우 언제든지 토지시장을 다시 자극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김정수 기자 kj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