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재정부 "6월 소비자물가 2%대 중반 예상" (상보)

윤종원 경제정책국장 "공공요금 인상 영향 크지 않을 것"

기획재정부는 1일 이달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전년동월대비로 2% 중반에서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윤종원 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6월 이후 소비자물가는 환율하락과 경기하강 요인, 그리고 기저효과 등이 반영되면서 당분간 전년동월대비 상승률이 낮아질 전망”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최근 세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 달러화 약세 등에 따라 국제 원자재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원-달러 환율하락이 전반적인 물가 안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게 윤 국장의 설명.

이와 관련, 윤 국장은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 동향’에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동월대비 2.7%로 지난 2007년 9월(2.3%) 이후 20개월 만에 2%대로 떨어지는 등 3개월 연속 상승률 둔화를 보인데 대해서도 “석유류, 금반지, 컴퓨터 등 환율영향이 바로 반영되는 일부 공업제품이 하락하고, 작년 5월 소비자물가가 크게 상승한데 따른 기저효과 등이 작용했다”며 “특히 봄가뭄, 재배면적 감소 등 공급충격 요인으로 상승했던 농수축산물 가격도 햇작물 출가 증가 등에 힘입어 하락세로 반전한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그는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인 생산자`수입물가도 환율하락 및 경기하강의 영향을 받아 둔화세가 예상되는데다, 경기하강 효과 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 둔화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안정으로 인해 경기영향을 많이 받는 집세 및 개인서비스 요금 등 또한 안정적인 모습을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적어도 올해와 내년은 전반적인 경기하강의 여파로 인해 인플레이션보다는 디플레이션 압력이 더 클 것이란 지적이다.

이어 윤 국장은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도 공급 측면에서 일시적인 충격효과가 해소되면서 하향 안정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전반적인 물가수준은 연간 기준으로 2%대 후반대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실제 5월 근원물가 상승률의 경우 전년동월대비로 전월(4.2%)보다 0.3%포인트 하락한 3.9%를 기록했으며, 생활물가 상승률도 1.8%로 안정세를 나타냈다.

윤 국장은 “최근 돼지고기, 감자, 배추 등 농축수산물의 가격이 올랐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지만, 전체 소비자물가 수준과 비교했을 때 생활물가는 더 안정적인 모습”이라면서 “통상 농축수산물은 기상여건, 전염병·병충해, 해걸이 현상 등 공급 측면의 충격에 따라 가격이 급변동해도 단기간 내에 그 충격이 해소돼 다시금 안정세를 회복하는 경향이 있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그는 "공공요금의 경우도 이달 들어 서울, 인천 등 지방자치단체가 결정하는 택시요금이 일부 인상됐으나 전반적으론 안정적인 수준이다. 16개 중앙 공공요금 중엔 현재 전기료와 도시가스(도매)에 대해서만 인상 요구가 있고, 나머지 11개 지방 공공요금 중에선 택시요금 외엔 별다른 인상 움직임이 없을 것이다"며 “인상요인이 누적된 일부 공공요금은 조정이 불가피할 수 있지만, 공공기관 경영효율화 등을 통해 인상요인을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