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식목일 전후 높새바람…산불 비상

산림청, 3월 27일~4월 26일 ‘산불 총력 대응기간’ 운영

오는 4월 5일 식목일을 앞뒤로 ‘높새바람 산불’이 일어날 가장 위험한 때로 산림청에 비상이 걸렸다.

27일 산림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산불의 64%는 봄철(3~5월)이며, 특히 식목일을 앞뒤로 높새바람이 부는 이달 하순부터 다음 달 말까지 산불위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3월 27일부터 4월 26일까지 한 달 동안을 ‘산불 총력 대응기간’으로 정하고 총력태세에 들어갔다.

이 기간 중 ▲산불감시원 3만 명 ▲무인감시카메라 544대 ▲중형헬기 13대를 활용한 지상·공중 간 입체적 산불감시를 더욱 강화한다.

산불이 일어나면 산불진화헬기 47대와 산불전문 진화대 7000명을 빨리 동원, 초동진화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대형 산불방지를 위해 25일 강릉에서 강원·경북도 부지사 및 동해안지역 8개 시장·군수가 참석한 가운데 ‘동해안 대형 산불 방지 대책회의’를 갖고 대형 산불 방지태세와 진화전략을 점검했다.

동해안 대형 산불 방지 특별대책회의는 이날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3시까지 동해안 산불관리센터(강릉 산림항공관리소)에서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이 주재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지난 10년간 3월 27일~4월 26일까지 154건(하루 평균 5건)의 산불이 일어나 3000ha 가량의 피해가 났다”면서 “이는 한해 발생건수의 31%, 피해면적의 88%에 해당 한다”고 밝혔다.

또 식목일이 있는 청명·한식을 앞뒤로 한 사흘간 40건이 일어나 이때가 산불 최다발생시기로 나타났다.

30ha이상 피해를 낸 대형 산불도 지난 10년간 46건에 이르렀다. 이 가운데 32건(70%)이 이 무렵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하루 중 산불이 가장 많이 난 날은 10년 평균 23건을 기록한 식목일이다. 식목일이 국가공휴일이면서 한식날이어서 성묘객과 행락객에 의한 산불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2006년부터는 식목일이 국가공휴일에서 빠지면서 2006년엔 산불이 나지 않았고 2007년 6건, 2008년 7건으로 줄었다.

그러나 올해는 식목일이 청명·한식, 일요일과 겹치면서 과거 식목일의 악몽이 되풀이될 우려가 높다.

4월 29일로 잡혀있는 재·보궐선거로 산불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소홀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는 게 산림청의 예견이다.

이 밖에도 올해는 5월까지 가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데다 경기침체, 고용악화에 따른 사회 불만자의 방화 가능성, 큰 산불이 없어 국민들의 산불에 대한 긴장감 이완도 산불예방에 선 불리한 변수다.

산림청은 올해는 식목일을 기점으로 3월말~4월 중순에 이르는 때에 산불위험 악재가 그 어느 해보다도 강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자 바짝 긴장하는 모습이다.

산림청은 산불의 대부분이 사람들의 부주의로 일어나고 사소한 원인이 야간산불이나 강한 바람과 동반되면서 대형 산불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올해 논·밭두렁 소각이나 쓰레기 소각, 산림 내 취사 및 흡연행위 등을 대대적으로 단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 기간에 적발되는 위반자에 대해선 과태료 부과 등 엄정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