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코카콜라 中 업체 인수 갈수록 불투명

中 상무부 "반독점 여부 평가 늦어져"

코카콜라의 중국 음료업체 후이위안(匯源) 인수 작업이 더뎌지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16일 코카콜라가 제안했던 후이위안 인수에 대한 심사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언급해 인수를 둘러싼 논란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지난해 9월 코카콜라가 중국 최대 과일쥬스업체인 후이위안을 24억달러에 인수하겠다고 선언하자 중국인들은 알짜 국민기업을 외국에 넘기면 안된다며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1월 코카콜라의 인수시 반독점법 위반 여부에 착수했으며 오는 20일까지 결과를 발표하기로 돼있다.

야오젠(姚堅) 상무부 대변인은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정부는 비준시점을 늦출 수 있다"고 말해 당국이 아직도 최종 결정을 내리지 못했음을 시사했다.

상무부는 곤란한 입장이다. 인수 승인시 코카콜라의 시장 독점시비가 중국내에서 빗발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후이위안이 대중에게 친숙한 브랜드인 만큼 국가 차원의 배신감을 낳을 수 있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인수금액상 중국기업의 피인수 규모로는 최대가 될 전망이다.

코카콜라는 최근 중국에 3년간 2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중국 당국과 민심 달래기에 나섰지만 상황이 이렇게 되자 효과는 미지수다.

입장이 난처한 상무부가 이 안건을 국무원에 올려 책임을 회피하려고 한다는 소문도 돌고 있다.

이에 대해 야오 상무부 대변인은 "당국은 6가지 사안을 놓고 코카콜라의 반독점 여부를 심도있게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코카콜라의 인수 반대 입장도 거세다. 상무부 국제무역경제합작연구원의 메이신위(梅新育) 연구원은 "산업내에서 반대 목소리가 크다"며 "내가 알기로는 중국내 모든 음료업체들이 반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여론조사업체 AC닐슨에 따르면 중국 천연쥬스시장에서 후이위안이 46%로 1위이며 코카콜라가 10%를 넘고 있어 인수가 성사되면 코카콜라의 시장점유율이 60%에 육박하게 된다.

김동환 베이징특파원 don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