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C등급 6개 건설사 "보증서 발급 기준 낮춰달라"

금융권의 신용위험평가에서 C등급을 받은 6개 건설사가 건설보증 발급기준 완화와 신용등급 하향조정 유예 등을 목적으로 정부 관계기관에 4일 탄원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풍림산업,경남기업,삼호,이수건설,우림건설, 신일건업 등 C등급 6개 건설사는 3일 "금융권의 신용위험평가가 원래 취지인 기업 회생에 맞지 않는다"며 "금융권이 건설보증 지급을 막고 있고 신용등급 하락을 고려하는 등 부도 기업에 준하는 처우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C등급을 받고난 이후 주채권은행조차 신규 자금 지원에 대해 건설사와 입장을 달리하고 있다고 불만을 터트렸다. 또 각 은행들은 공공공사나 주택사업, 해외 공사 등에 참가하기 위한 신규 보증서 발급조차 기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최근 건설공제조합은 워크아웃 건설사들을 상대로 입찰보증시 공사금액의 최대 15% 현금예치할 것을 요구하거나, 우량 건설사의 연대보증 등을 통해 보증서를 발급해주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더구나 일부 은행에서 워크아웃 기업에 대해 예금인출 제한, 법인카드 사용중지 등 금융제한 조치를 취하다 금융감독당국으로부터 시정 요구를 받는 등 사실상 부도기업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신용평가사들도 이들 건설사에 신용등급을 CCC로 조정하겠다고 통보했다. 신용등급이 CCC로 낮아질 경우 현행 국가계약법상 입찰 참가자격사전심사(PQ) 심사시 500억원 이상 공공 공사는 BBB-, 500억원 미만은 BB- 이상의 등급을 요구하고 있어 사실상 공공공사 입찰에 참가할 수 없게 된다. 또 공모형 PF개발사업, 민자사업 등의 입찰에도 배재당할 수 밖에 없다.

설사 이들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한다고 해도 C등급을 받은 이상 발주자의 주관적 심사에서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많다. 문제는 이같은 신용등급 하락으로 하자보증 등 기타 보증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기존 공공사업도 발목을 잡을 수 밖에 없어 'C등급'은 곧 '부도'라는게 C등급 건설사측의 설명이다.

이들은 이에 따라 4일 "워크아웃 기업의 건설 보증 발급 기준 완화와 신용등급 하향 조정 유예 등을 목적으로 국토부, 기획재정부, 금감원, 청와대 등 정부 기관에 합동으로 탄원서를 제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