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26일 세계를 경악시킨 인도 뭄바이 동시다발 테러가 발생한 지 벌써 한 달이 훨씬 지났다. 테러 현장을 목격한 이들은 당시 참사에 대해 '인도판 9·11'이라고 불렀다.
하지만 사태가 종료된 지 1개월이 지나도록 꼼짝하지 않고 있는 인도 정부의 늑장 대응에 세계는 또 눈살을 찌푸리고 있다.
일본의 경제주간지 닛케이비즈니스는 최신호(1월 5일자)에서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이미 위기를 겪고 있는 인도 경제가 뭄바이 테러에 따라 급강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닛케이비즈니스는 뭄바이 테러를 인도판 9·11이라고 부르는 데 대해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의 9·11테러는 폭발물 아닌 항공기 3대가 세계무역센터(WTC), 미 국방부 청사에 충돌해 전괴시키는 등 뭄바이 사태와 차원이 달랐다.
피해 규모도 미국의 경우 3025명이 목숨을 잃고 1만8000개 중소기업이 파산해 20만명의 실직자가 발생했다. 월스트리트는 1주 동안 폐쇄됐다.
뭄바이 테러에 따른 사망자는 200명 이하, 표적이 된 타지마할 호텔의 피해 규모는 1억달러 정도를 기록했다. 살상의 진원지였던 호텔들은 몇 주만에 영업을 재개했다.
닛케이비즈니스는 테러 이후 미국과 인도 정부의 대응에서 드러난 큰 차이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9·11 테러 이후 수시간만에 구제법을 가동했다. FRB는 사흘 사이 3000억달러를 시장에 투입했다.
뉴욕 증권거래소는 테러가 발발한 지 1주 후 문을 열었다. FRB는 시장 활성화 차원에서 기준 금리를 0.5%포인트 낮췄다. 이어 추가로 3차례에 걸쳐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2001년 12월 기준 금리는 1.75%였다.
미 정부는 각 항공사에 150억달러를, 테러 피해로 고통 받고 있는 중소기업에 대출을 지원했다. 뉴욕시는 연방정부로부터 217억달러를 지원 받았다.
인도인들이 화 난 것은 테러 종료 열흘 후에야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내놓았다는 점이다. 더욱이 테러 피해자에 대한 지원책이나 뭄바이시 복구에 대해서는 한 마디 언급도 없었다.
만모한 싱 인도 총리는 "정부는 유족의 생활 보장과 부상자의 의료비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말만 되풀이할 뿐 구체적인 대응책은 밝히지 않고 있다.
경기 악화에다 테러까지 터지면서 시민들 사이에서는 불안감이 극도에 달한 가운데 일부에서는 테러리스트들의 본거지인 파키스탄과 전쟁을 벌이자는 소리도 들려오고 있다.
닛케이비즈니스는 이번 테러를 통해 인도를 불안으로 내 몬 인도 정부의 무능함이 여실히 드러났다며 자국 경제를 지키려면 사태를 수수방관할 것이 아니라 미국 정부와 같이 과감하고도 신속한 결단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배수경 기자 sue6870@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