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무안 활주로 끝 방위각, 사고 키웠나 살펴보겠다'

둔덕이 사고 키웠다 지적 나와
콘크리트 돌출구조로 만드는 경우 드물어
국토부 조사 예정
사고 여객기도 전수 특별점검

30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유류품을 탐색하고 있다. 강진형 기자

국토교통부는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와 관련해 콘크리트 재질의 방위각에 여객기가 부딪치며 사고를 키웠다는 지적과 관련해 "다른 국내 공항에도 설치된 것"이라고 30일 답했다. 이어 "사고와 연관성에 대해 면밀히 파악해 보겠다"고 덧붙였다.

항공 안전을 총괄하는 주무 부처인 국토부는 이날 오전 10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주재로 진행한 '무안 여객기 사고 관련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주 실장은 "무안 공항은 활주로 종단 안전 구역 외곽의 활주로 끝단에서 약 251m 거리에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설치돼 있다"며 "여수공항과 청주공항 등에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방위각 시설이 있다"고 설명했다.

방위각 시설은 공항의 활주로 진입을 돕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안테나다. 흙으로 된 둔덕 상부에 콘크리트 기초와 안테나가 설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로 금속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무안공항처럼 콘크리트의 돌출 구조로 만들어지는 일은 드물어 국내외 규정을 위반했다는 주장도 나온다.

제주항공 여객기는 착륙 시도를 하다가 방위각 시설에 이어 담벼락에 부딪히면서 기체가 두 동강이 나며 참사로 이어졌다. 주 실장은 "방위각 시설은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설치 규정이 있고, 이를 파악하는 중"이라며 "재질이나 소재에 제한이 있는지, 사고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면밀히 파악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30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유류품을 탐색하고 있다. 강진형 기자

국토부는 사고기의 동체착륙 지점에 대해 "대략 활주로(2800m) 일부 방향으로 봤을 때 3분의 1지점으로 추정된다"며 "활주로 시작점으로부터 1200m 지점에 착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후 동체로 활주로에서 1600m 정도를 미끄러지다가 둔덕과 외벽에 부딪혔다는 것이다.

또 동체착륙 중 전원이 셧다운됐다는 추정에는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 조사하면서 밝힐 것"이라며 "블랙박스 기록들 토대로 이런 내용이 상세하게 밝혀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이번 사고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과 관련해 현재 건설이 추진 중인 신공항에 대한 관련 규정 강화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상 조류 충돌 위험을 줄이기 위한 규정이 있으며, 그 규정에 맞게 평가하고 있다"며 "신공항 사업에 대해서는 조류 충돌 문제는 보다 꼼꼼하게 살펴보고 전문가와 함께 보완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이번 사고 여객기의 기종인 '보잉 737-800'(B737-800)' 전수 점검을 실시한다. 사고기를 운용한 제주항공을 대상으로도 강도 높은 안전 점검을 진행한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179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30일 전남 무안국제공항 인근 무안스포츠파크에 희생자 애도를 위해 마련된 합동분향소를 찾은 지역 주민들이 조문 하고 있다. 강진형 기자

주 실장은 "제주항공 사고기와 같은 기종(B737-800)이 우리나라에 101대 운영되고 있다고 하는데 (이에 대해) 먼저 특별점검을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가동률을 비롯해 항공기 운항 전후 이뤄지는 점검과 정비 규정이 잘 준수되고 있는지 들여다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와 기체 제작사인 보잉사와 함께 사고원인 등에 대한 합동 조사에 나선다.

이 기종은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대부분에서 운행 중이다. 제주항공이 39대로 국내 항공사 중 가장 많은 수를 항공편에 투입하고 있다. 이어 티웨이항공 27대, 진에어 19대, 이스타항공 10대, 에어인천 4대, 대한항공 2대를 가지고 있다. B737-800은 1997년 출시 후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5000대가 넘게 팔린 기종이다. 많이 팔린 만큼 기체결함이나 사고 소식도 많다.

국토부는 2019년 보잉 737 NG 계열 항공기를 보유 중인 국내 항공사에 동체 구조부 균열 여부를 점검하도록 했다. 총 9대에서 균열이 발견돼 비행을 중지한 바 있다. 올해 초에도 국적항공사 5곳을 대상으로 보잉 737-맥스8 기종 기체 14대를 대한 안전 점검을 지시했다.

국토부는 "(제주항공의) 항공기 가동률이 높은 것은 사실 통계로 나오는 수치"라며 "항공안전감독관을 제주항공에 급파하는 등 강도 높게 항공 안전 감독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건설부동산부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