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안다니는데요'…기껏 새로 뽑았는데 열 중 여섯은 그만뒀다

고용연구원, 고용보험 DB 분석 보고서
1년이상 고용유지율 2021년 기준 40.1%
“고용유지율 높이려면 세심한 정책 필요”

신규 취업한 임금 근로자 중 취업 1년 후에도 같은 직장에 다니는 경우는 10명 중 4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고용정보원은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새로 취업해 고용보험에 가입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2021년 기준으로 40.1%였다.

장사랑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2012년부터 가장 최신 자료인 2022년까지의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 새로 취업한 일자리가 이듬해까지 유지된 비율을 연도별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2012년 42.4%에서 2017년 41.2%까지 점진적으로 낮아지다 2018년과 2019년 42%대로 다시 올랐다.

그러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 39.6%, 2021년 40.1% 수준으로 떨어졌다. 즉, 2021년 새로 취업한 근로자 10명 중 6명이 1년 이내에 그만둔 셈이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임금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012년 64개월에서 2021년 70개월, 2024년 76개월까지 꾸준히 증가했다.

근속기간만 보면 고용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고용 유지율은 10년간 제자리에 머무르거나 오히려 소폭 감소했다.

보고서는 “이는 신규 취업자 수가 줄어들며 전체 근로자에서 신규 취업자 비중이 작아져 평균 근속기간은 늘어났지만, 신규 취업자의 고용 안정성은 전체 근로자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장 연구원은 “안정적인 일자리는 안정성이 강화되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는 그렇지 못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라고 말했다.

성별로 보면 2021년 기준으로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남성이 42.4%, 여성이 37.9%였다. 연령별로는 30대(46.0%)와 40대(43.8%)가 높고, 60세 이상(34.0%)과 29세 이하(37.4%)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아울러 학력이 낮을수록 고용 유지율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이후 고용 유지율이 낮아지던 시기에는 여성의 고용 유지율 감소폭이 남성보다 크게 나타나는 등, 전반적으로 10년 사이 성별, 연령별, 학력별 격차가 벌어졌다”고 설명했다.

장 연구원은 “고용지표가 악화하는 시기에 고용 유지율이 낮은 집단을 지원할 세심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고용 유지율 변화 원인을 산업요인 등 노동 수요 측면에서 추가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슈&트렌드팀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