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주형기자
올해 2월부터 최근까지 119 구급상황관리센터에 '병원을 찾아달라'는 요청이 급증했다. 의료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응급 환자를 병원까지 이송하는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역할이 더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4일 연합뉴스는 소방청을 인용 올해 2월부터 지난달 25일까지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이송병원 선정 건수가 총 1197건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519건으로, 총 131% 폭증한 셈이다.
같은 기간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업무별 비중에서 '이송 병원 선정'이 차지하는 비율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에는 1.8%였지만, 올해는 4.1%로 두 배 이상 높아졌다. '대국민 병·의원 안내'도 같은 기간 41.8%에서 44%로 2.2%P 증가했다.
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이전부터 구급대 요청 시 환자의 중증도를 판단, '중증 응급환자'는 권역·응급의료센터나 대형병원으로 보내고 '경증·비응급환자'는 지역 응급의료기관이나 인근 병·의원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병원 선정 업무를 해왔다.
기존에는 구급대에서 직접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제 구급대가 직접 응급처치를 하며 병원을 찾기에는 업무 부담이 너무 커 소방청은 올해 2월부터 구급상황관리센터 역할을 강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의료공백 장기화로 인해 환자를 받지 않는 병원이 증가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소방청에 받은 구급대 재이송 자료를 보면, 올해 6월10일까지 구급대가 환자를 네 차례 재이송한 사례는 17건에 달했다. 올해가 상반기밖에 지나지 않았음에도 지난해(16건), 2022년(10건) 전체 기록을 이미 상회한 것이다.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사례가 여러 건 보도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응급실 11곳에서 이송 거부를 당한 28개월 여아가 한 달째 의식불명에 빠져 있다는 사연이 전해지며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지난달 9일 서울 지하철 1호선 구로역에서 사상 사고가 발생했을 때 부상 당한 작업자가 16시간 동안 병원 여러 곳을 전전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