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만나면 가스에 폭발까지… '사각지대'서 발생한 화재 참사

경찰, 소방당국 등 합동 감식 돌입
배터리 셀 폭발·연소 원인으로 지목
리튬, 물 만나면 유해가스에 폭발
대응 매뉴얼 부재… 냉각기술 개발

25일 경기 화성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의 원인 규명을 위해 합동 감식이 시작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화재 발생 당일 공장 북서쪽에 있는 배터리 완제품 검수동에서 불길이 시작됐는데, 현장에서는 배터리 셀 일부에서 폭발적인 연소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경기남부경찰청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 사건 수사본부는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해 소방당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토안전원,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관리공단 등과 함께 합동 감식을 진행한다.

25일 경기 화성시 일차전지 제조 공장 화재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실종자 수색을 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화재가 발생한 공장은 리튬 배터리를 제조해 완제품을 납품하는 업체의 소유로, 3층짜리 철골구조 건물에는 3만5000개가 넘는 원통형 리튬 배터리가 보관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진화가 어려운 리튬 소재의 배터리가 화재 주 원인이었던 셈으로, 리튬은 물과 만나면 유해 가스를 발생시키면서 폭발하는 성질이 있다.

소방당국 역시 현장에서 "화재 초기 내부에 있던 배터리 셀이 물로는 진화가 되지 않아 진화에 애로를 겪었다"고 초기 상황을 전했다. 리튬과 같은 알칼리 금속의 경우 진압된 것처럼 보이더라도 섭씨 1000도 이상 고온을 보여 위험하고 추가 폭발의 가능성이 있어 진화가 매우 어렵다. 더욱이 배터리 내부에 불이 나면 양극재와 음극재가 만나지 못하게 나누는 안전 장치인 분리막이 파손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온도가 치솟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주변 배터리 역시 화재로 인한 손상과 열 폭주 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화재를 진압해도 다시 불이 붙는 재발화의 위험도 높다.

신고를 받고 현장에 도착했던 소방당국은 화재 초기 마른 모래를 활용한 진화 방법까지 고민했던 것으로 전해졌지만 결국엔 배터리에 포함된 리튬이 소량인 것으로 확인돼 물을 활용한 일반적인 진압 방식을 택했다.

일각에서는 세부적인 대응 매뉴얼이 없었던 것도 원인으로 꼽고 있다. 환경부의 '화학사고 위기대응 매뉴얼' 등은 유해화학물질이 유출돼 인명·환경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반면 리튬을 비롯한 일반화학물질과 관련한 사고는 소방당국을 중심으로 대응이 이뤄지는 상황이다. 더욱이 일차전지는 이차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재의 위험성이 작다고 여겨지고 불산가스와 같은 독성물질을 내뿜지 않아 별도의 안전기준 등이 마련된 것도 없었다.

문제는 리튬이 전기차, 휴대전화, 노트북, 친환경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우리 생활 곳곳에 들어가 있다는 점이다. 2022년 10월 15일 카카오톡 '먹통' 사태를 유발한 SK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의 경우도 리튬이온배터리가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에 배터리 업계와 소방 관련 업계는 배터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냉각 기술, 소화액 등을 개발 중이다.

사회부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