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尹 정부 성공해야 정권 재창출…野폭주 정면돌파'

당·민심 대통령에 전달할 레드팀 만들 것
제2부속실 설치 등 최우선 과제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23일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책임지겠습니다 7·23 전당대회 당대표 출마를 밝혔다.

원 전 장관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당대표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는 우리가 함께 만든 정부다. 저는 경선의 경쟁자였지만 대선 공약을 책임졌고 경제부처 장관으로 국정에 참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선 원 전 장관은 "이러다가 다 죽습니다. 마지막 기회일지 모른다. 반성한다. 저와 당이 부족한 탓에 국민의 선택을 받지 못했다"며 "여당 선거인데 대통령을 설득하지 못했습니다. 지난 2년 무엇을 잘못했고 남은 3년 무엇을 잘해야 하는지 국민께 설명해 드리지 못했다"고 고개를 숙였다.

윤석열 정부 초대 국토교통부 장관을 지낸 점 등을 언급하며 "신뢰가 있어야 당정관계를 바로 세울 수 있다. 저는 대통령과 신뢰가 있다"며 "당심과 민심을 대통령께 가감 없이 전달하겠다. 레드팀을 만들겠습니다. 레드팀이 취합한 생생한 민심을 제가 직접 전달하겠다. 그리고 그 결과를 국민들께 보고드리겠다"고 약속했다.

거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을 향해서는 "의석수를 무기로 국회의 오랜 전통과 관행을 짓밟고 있다. 야당의 폭주를 정면 돌파하겠다"며 "협치는 하지만 무릎 꿇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채상병 특검법에 대한 원 전 장관의 입장을 묻는 기자에게 "새삼 슬픔과 위로의 뜻을 정중히 표한다. 앞으로 이러한 비극적인 사고가 없도록 하기 위해 사고의 원인과 책임에 대해서 철저히 조사가 이루어지고 책임자에 대한 문책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그 과정에서 현재 공수처에서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 수사 결과가 미진하다면 먼저 특검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게 여당이 이미 밝힌 입장"이라고 답했다. 김건희 여사 특검에 대해서도 "수사 결과에 따라서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그에 따른 책임을 질 일이 있으면 책임을 지고 국민의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내놨다.

당정 관계에 대해서는 "대통령 선거 캠프에서 정책본부장 맡을 당시라든지, 인수위 또는 국토교통부 장관으로서 일할 당시에도 당정 간에 또는 대통령과 견해가 다르거나 아니면 대통령께서 아직 논의하지 않는 사안을 가지고 숱하게 토론했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저는 앞으로 제가 (당대표를) 맡아 나간다면 대통령과의 그동안의 경험과 함께 논의해봤던 그간의 과정에 비춰서 신뢰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저의 25년의 정치 경험, 한나라당의 가장 쓴소리를 앞장서서 했던 원조 소장파의 중심인물로서 갈등을 충분히 해결해 나갈 수 있다 하는 자신감이 있다"고 덧붙였다.

나경원 의원이 출마 기자회견 후 각각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원 전 장관을 빗대 "'한 명은 계양에서, 한 명은 전국에서 패배했다'"고 했는데 그에 대한 생각은 무엇이냐고 묻자 "20년 혹은 그 이상, 한 번도 우리 당 계열에서 당선된 적이 없는 제주도나 인천에 출마해 보시고서 얘기해주셨으면 한다"고 받아쳤다.

인천 계양을에서 자신을 꺾은 이재명 대표를 만나면 패배가 떠오를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정치는 개인의 한풀이를 하기 위한 자리가 아니다"며 "국민들을 대표해서 또 공적인 업을 떠맡은 것이기 때문에 이 대표를 당대표로서 상대하고 있는 여야 당대표로서 가장 바람직한 모습을 담아내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답했다.

빨간색 팀을 자처하겠다고 한 것에 대해서는 "(제2부속실 설치, 특별감찰관 임명) 이미 했던 약속을 안 지키고 있는 것에 대한 국민들의 따가운 질책부터 해소해야 신뢰가 해소되고, 국민과 대통령실 거리가 좁혀질 수 있다"며 "그런 것들이 레드팀의 최우선적 의제가 될 수 있다. 당연히 그 정도는 전제하고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정치부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