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교수 '무기한 휴진' 중단… '지속 가능한 저항하겠다'

응답자 73.6%, '지속 가능한 저항'해야
"당장 발생할 환자 피해 그대로 둘 수 없어"
"불통 정부의 설익은 정책 받아들여서 아냐"

지난 17일부로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던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다음주부터 휴진을 중단한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서울의대 비대위)는 21일 입장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서울의대 비대위에 따르면 지난 20~21일 4개 병원(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전체 교수를 대상으로 진행한 투표 결과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192명(20.3%)이었다. 구체적인 활동 방식을 묻는 질문(중복 응답 가능)에 대해, 75.4%가 '정책 수립 과정 감시와 비판,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고 동의했으며, 55.4%가 범의료계와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외에도 65.6%의 교수들이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에 서울의대 비대위는 이미 진료가 변경된 이번주가 지난 다음주 월요일부터 투표 결과에 따라 전면 휴진을 중단한다. 비대위는 "전면 휴진 기간에도 미룰 수 없는 중증, 난치, 응급 환자에 대한 진료는 유지해 왔으나 서울대병원 특성상 현 상황이 장기화 되었을 때는 진료 유지 중인 중증 환자에게도 실제적인 피해가 생길 수 있다"며 "의료 대란 속에서 환자 곁을 지켜왔고 휴진 기간에도 꼭 봐야 할 환자를 선별하고 진료해 온 우리 교수들이 가장 걱정하는 점"이라고 했다.

이어 "국회 복지위 분들도 실제 환자 피해를 우려하는 간곡한 당부를 주셨다. 저희가 만났던 환우회와 소비자단체 여러분들 역시 같은 마음을 전했다"고 덧붙였다.

전면 휴진은 그만두지만, 저항은 이어질 것이라고도 전했다. 비대위는 "우리가 전면 휴진을 중단하는 이유는 당장 지금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어서다"라면서 "무능한 불통 정부의 설익은 정책을 받아들여서가 아니다"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닥칠 의료계와 교육계의 혼란과 붕괴의 책임은 전적으로 정부에 있다. 우리는 저항을 계속할 것이며, 정부의 무책임한 결정으로 국민 건강권에 미치는 위협이 커진다면 다시 적극적인 행동을 결의할 것"이라며 "정책 수립 과정을 감시하고 비판과 대안의 목소리를 낼 것이며, 이를 위해 의료계 전체와도 연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오중기벤처부 최태원 기자 peaceful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