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더 덥다…산업부 '8월2주 전력피크, 예비력 부족시 신규 발전기 투입'

평년보다 더 덥고 더 습할 것으로 예상되는 올 여름철에는 8월 2주 차에 최대전력수요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는 최대 104.2GW의 공급능력과 비상예비자원 확보한 상태로 전력수급은 안정적일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여름 최대전력수요는 92.3GW로 지난해 여름(93.6GW)과 유사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20일 밝혔다.

한국전력공사 경기지역본부 전력관리처 계통운영센터에서 관계자가 전력수급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최대전력수요는 산업계 휴가 기간 후 조업률이 회복되는 8월 2주 차 평일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산업부는 수도권 무더위로 냉방수요가 높은 가운데 남부지방에 구름이 유입돼 태양광 이용률이 낮아지는 예외적 상황에서는 97.2GW까지 전력수요가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전력 당국은 올여름 최대 104.2GW의 공급능력을 확보한 상태다. 지난 4월 상업 운전을 시작한 신한울 2호기를 비롯해 총 21기의 원전을 가동할 계획이다. 태양광 설비도 작년보다 2.7GW 늘어 전력수급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전력 당국은 발전기 고장과 이른 폭염 등 예상치 못한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수급관리 대책을 준비했다. 우선 예비력이 부족해지면 울산GPS복합과 통영천연가스 등 새로 건설한 발전기를 시운전에 투입한다. 이 같은 조치에도 예비력이 충분치 않으면 수요자원(DR)과 석탄발전기 출력 상향운전, 전압 하향조정 등 최대 7.2GW의 비상예비자원을 가동하기로 했다.

합리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수요관리도 병행한다. 공공기관은 집중관리가 필요한 7월 3주부터 8월 3주까지는 피크시간대(오후 4시30분~5시30분)에 냉방기를 순차운휴(30분씩 정지)하고, 예비력이 5.5GW 미만이 될 것으로 예상되면 실내온도 기준을 상향 조정하는 등 추가적인 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

지난 16일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서 논의한 대로 취약계층 하절기 에너지바우처 단가 상향(세대 평균 4만3000원→5만3000원), 고효율기기 보급 규모 확대 등 냉방비 부담 완화 지원 정책도 추진한다. 월 10만원 이상의 전기요금을 납부하는 주택용 전기 소비자와 일정 증빙을 갖춘 소상공인·뿌리기업에 대해 7~9월분 전기요금을 2~6개월간 분할 납부하는 제도도 시행한다.

전력당국은 오는 24일부터 9월6일까지를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기간'으로 정해 유관기관과 수급대책 상황실을 운영하면서 실시간 수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위기 시 예비자원을 즉시 투입해 수급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세종중부취재본부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