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속 기업]동해 석유·가스 매장량 분석한 '액트지오'

엑손모빌 출신 탐사전문가 만든 회사

윤석열 대통령이 3일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석유·가스 매장량을 확인하기 위한 시추 계획을 공식 발표한 가운데, 그 가능성을 분석한 해외 자원개발업체 '액트지오(ACT-GEO)'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액트지오는 2017년 미국 휴스턴에서 설립된 심해 탐사평가 전문 컨설팅 기업이다. 회사 홈페이지를 보면 세계 각국의 석유 및 가스 회사, 정부기관, 대학에 지구과학 분야 컨설팅과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카자흐스탄, 미얀마, 브라질 등의 탐사 프로젝트를 지원한 이력도 있다.

액트지오(ACT-GEO) 로고

특히 액트지오의 설립자인 빅터 아브레우(Vitor Abreu) 박사는 브라질 국영 석유기업 페트로브라스를 거쳐 엑손모빌에서 지질그룹장 등을 역임한 세계 심해지역 탐사의 권위자로 꼽힌다. 현재 미국 퇴적지질학회(SEPM) 회장이자, 미국 라이스대학교의 겸임교수를 맡고 있다. 그는 엑손모빌 재직 당시 남미 가이아나 유전 개발 과정에 참여했는데, 21세기 최대 심해 유전으로 평가되는 이곳은 광구 매장량이 무려 110억배럴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아브레우 박사는 지난해 'FLUXUS OGE(플룩서스 오일·가스·에너지)'란 회사를 공동 창업해 이곳의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있다. 액트지오에서도 고문 컨설턴트로 활동 중이다. 다른 액트지오 직원들 역시 심해평가 경험이 풍부한 글로벌 석유 메이저 출신 전문인력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아브레우 박사는 과거 엑손모빌에 있을 때 현 시대 가장 큰 광구인 가이아나 광구 개발에 직접 참여한 사람"이라면서 "액트지오의 인력은 적지만 대표가 심해평가 이력이 많아 한국석유공사의 입찰 과정을 거쳐 평가업체로 선정됐다"고 밝다. 물리탐사는 석유공사가 직접 수행하고, 그 자료 해석을 액트지오가 맡았다는 게 산자부의 설명이다.

다만 액트지오와는 별개로 전문가들은 물리탐사 단계에서의 수치가 어디까지나 추정치라는 걸 유념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액트지오는 포항 앞바다에 최소 35억배럴에서 최대 140억배럴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 결과를 작년 말 내놓았는데, 이는 우리 정부가 지난 15년가량 진행해 온 지질조사와 물리탐사(탄성파·중력·자력 등)에 대해 액트지오 측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일 뿐이다. 석유 개발은 통상 물리탐사-시추-개발-생산 등의 단계를 거치는데, 초기 단계 중 하나인 물리탐사는 전파를 이용해 지하 유전 구조를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수준이라 실제로 파보는 시추까지 이뤄져야만 확정 매장량을 이야기할 수 있다. 특히 동해의 경우 수심이 깊어 탐사 자체가 매우 까다로운 환경인데다, 깊이 1㎞ 이상, 1개당 1000억원이 넘는 비용이 들어가는 시추공을 최소 5개 뚫어야 한다.

동해 석유·가스전의 최대 매장 가능량(140억배럴)은 1990년대 후반에 발견된 동해 가스전의 300배가 넘는 규모이며, 우리나라 전체가 사용할 경우 천연가스는 최대 29년, 석유는 최대 4년을 넘게 쓸 수 있는 막대한 양이다. 정부 추정 결과에 따르면 매장량의 4분의 1은 석유, 4분의 3은 가스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 후반에 4500만배럴 규모의 동해 가스전을 발견해 3년 전인 2021년까지 상업생산을 마친 바 있다. 산자부는 2027~2028년께 공사를 시작해 2035년 즈음 상업 개발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IT부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