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하고 싶으면 5만원 내'…아파트관리소 갑질에 택배기사 '분노'

택배기사와 입주민 갈등 잇달아 제기돼
이번엔 '차단기 리모컨 보증금' 요구해
5만원 예치하고 리모콘 사용해 택배 배달

물건 살 시간도 없이 바쁜 현대인의 삶을 윤택하게 해주는 택배 배달. 아침에 주문할 시 저녁에 배송해주는 '하루 배달'이 보편화되어가는 추세지만, 택배기사와 입주민 간 갈등을 겪었다는 사연이 잇달아 올라오곤 한다. 이번에는 한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택배기사들에게 차단기 리모컨 보증금 5만원을 내라고 요구한 사연이 알려져 논란이다.

택배를 배달하려면 차단기 리모컨 보증금 5만원을 내라고 요구한 아파트.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1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역대급인 아파트'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택배기사로 일하고 있다는 작성자 A씨는 "내가 살다 살다 별 이상한 곳 다 다녀봤어도, 이런 곳은 처음이다"라며 한 아파트 출입구에 붙은 공지문 사진을 공유했다.

공지문에는 "11월 1일부터 차단기가 작동됩니다. 택배 차량은 사전에 관리사무소에서 보증금 5만원을 예치하고 리모컨을 받아 사용하셔야 함을 알려드립니다"라고 적혀있다. 보증금을 내지 않으면 아파트 출입이 불가하다는 것. 당연히 택배 배송에도 차질이 생긴다.

A씨는 "리모컨을 받으면 내가 계속 가지고 있는 건지"라며 "지금 회사 담당자랑 조율 중인데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다"라고 호소했다.

해당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저런 아파트가 많아지면 택배기사들 차에 리모컨 주렁주렁 달고 다닐 듯", "저걸 왜 배달원들이 내고 나중에 보증금을 돌려받아야 하는지 의문이다", "리모컨 잃어버리면 추가금도 받을 듯", "왜 저러는 건지 이해가 안 간다", "택배 배달해 주지 말아라"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반면 누리꾼 B씨는 "사진을 보니까 지상에 차도가 없는 아파트고, 원칙대로라면 지하 주차장 출입구로 다니면서 배달해야 하는데 편의상 리모컨 주고 지상으로 다닐 수 있도록 열어주는 것 같다"라며 "5만원은 리모컨 분실·파손에 대한 보증금인 거고, 받는 것이 당연하다. 사람이 다니는 보도블록에 택배차 출입시켜 주는 것만 봐도 아파트에서 택배기사들을 배려하고 있는 것"이라고 반박하기도 했다.

한편 아파트에서 택배기사와 입주민 간 갈등을 겪었다는 사연은 이미 일상이 된 지 오래다. 지난해 1월에는 세종시 한 아파트 단지 입주자대표회의가 택배기사에게 승강기 사용료를 부과하려던 것이 알려져 뭇매를 맞았다. 당시 아파트 관계자는 "택배기사님들도 힘든 것은 잘 알지만, 기사님이 모든 층을 다 누르면서 배달하기 때문에 승강기 이용이 불편하다는 민원 제기가 있었다"라며 "세종시 다른 아파트단지에서도 이용료를 부과하는 곳이 있다"고 해명했다.

지난 2021년에는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택배 차량 출입을 막자 택배기사들이 반발하며 각 세대 문 앞 배송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입주민들은 아이들의 안전사고 방지와 탑차에 의한 보도블록·화단 등의 시설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택배 차량의 지상 출입 금지를 주장했지만, 택배 노조는 "단지 내 택배 차량 출입 금지는 전형적인 갑질"이라며 반발했다.

이슈&트렌드팀 고기정 인턴 rhrlwjd031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