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AI 가동에 원전 활용…SMR 인허가 작업에는 AI 이용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공지능(AI) 가동에 필요한 전력을 탄소 제로(0)인 원전에서 조달하고, 소형원전(SMR) 승인을 위해 AI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MS는 버지니아에 있는 데이터 센터 가동을 위해 지난 6월 미 최대 원전 소유주인 콘스텔레이션 에너지에서 원전 에너지를 구매하기로 했다.

AI와 슈퍼 컴퓨팅 가동에는 막대한 전력이 필요하다. 데이터 센터 하나를 가동할 때 필요한 전력은 수십만 가구가 이용할 수 있는 규모의 전력과 맞먹는다. 특히 AI 구동에는 더 많은 컴퓨팅 전력이 필요하다.

콘스텔레이션 에너지는 "AI 등장으로 데이터 센터에 들어가는 전력 수요는 전기차 충전에 필요한 수요의 5~6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원전은 탄소 발생이 없고, 다른 재생에너지와는 달리 24시간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안전성 우려가 단점이다.

이에 기존 원전을 대신할 친환경 미래 에너지원으로 SMR이 주목받고 있다. SMR은 전력 생산 과정에서 탄소를 발생시키지 않고, 방사능 누출·폭발 사고 위험도 낮다. 빌 게이츠 MS 창업자도 2008년부터 SMR을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보고 막대한 투자를 해오고 있다.

하지만 SMR은 인허가를 받기 위한 시간, 비용이 많이 투입된다. 현재 미국에서 승인받은 SMR 개발사는 단 한 곳이다. 승인 과정에 5억달러가 들었고, 신청서는 1만2000쪽, 자료는 총 200만쪽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MS는 SMR 승인작업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 AI를 활용해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훈련하고 있다. 원전 사용을 지원하는 영국 비영리 민간단체인 테라 프락시스와 협력 중이다. MS가 코딩, 테라 프락시스가 원전 규제 관련 지식을 제공한다.

에릭 잉거솔 테라 프락시스 공동 최고경영자(CEO)는 "AI는 새로운 원전을 승인받는 데 드는 시간을 90%까지 줄여준다"며 "재생에너지 개발자들의 허가 속도를 높이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국제1팀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