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지방소멸 대응기금 ‘896억원’ 확보

충남도가 지방소멸 대응 기금으로 896억원의 국비를 확보했다.

7일 충남도에 따르면 확보한 지방소멸 대응 기금은 광역계정 144억원과 기초계정 752억원으로 나뉜다.

충남도는 광역계정 배분액을 충남 농촌형 리브투게더,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 조성 등 4개 사업에 활용할 계획이다.

기초계정 배분액은 각 시·군에서 활용하게 된다. 가령 부여군(S등급)은 144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스마트팜 실습농장과 기숙교육센터를 결합한 ‘스마트 농업 구조 고도화’, 버려진 폐건물을 활용한 ‘청년 임대주택 조성 사업’ 등을 추진해 지역 활성화를 도모한다.

또 서천군(A등급)은 112억원의 예산을 들여 농촌 보금자리 임대주택, 전통 한옥체험 숙박동 등 ‘도시민이 찾아오는 맞춤형 농촌스테이 조성 사업’으로 귀농·귀촌 인구 유입과 농촌 정주 여건 개선의 기틀을 마련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부터 10년간 연도별 1조원 규모의 재원을 마련해 지방소멸 대응 기금을 배분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등급을 기존 5개에서 4개(S·A·B·C)로 축소해 최고~최저 등급 간 배분 금액 차이가 56억원에서 80억원으로 벌어졌다.

충남도는 지방소멸 대응 기금 확보를 위해 인구감소 시·군과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광역·기초 간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지방소멸 대응 기금 투자계획 수립·평가 과정을 돕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지방소멸 대응 기금을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위기 극복의 마중물로 삼겠다”며 “청년인구 유입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고, 인구 선순환 구조가 마련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중부취재본부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