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방한 이뤄질수도'…북러 밀착에 한중관계 개선 촉각

시진핑 먼저 방한 언급…관계 개선 신호탄되나
정부 "방한 일정, 中과 소통할 예정"

최근 군사·안보 분야 협력을 중심으로 북러 관계가 밀착하는 상황 속에서 한중관계 개선이 관심의 초점으로 떠올랐다.

앞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식 참석차 중국 항저우를 방문한 한덕수 국무총리를 만나 약 22분간 면담하고 방한 문제를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박진 외교부 장관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가능성과 관련 "편리한 시기에 시 주석의 방한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지난달 25일 저녁 연합뉴스TV에 출연해 시 주석 방한 시점에 대해 "이를 위해 중국과 소통할 예정"이라고 했다.

23일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식 참석을 위해 중국을 방문한 한덕수 국무총리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서호 국빈관에서 양자회담을 갖고 있다. 사진=총리실제공

박 장관은 시 주석이 방한을 언급한 배경과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께서 지난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을 만나 한국 방문을 요청했고 바로 얼마 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서 중국 리랑 총리를 만나 한중 관계 발전을 위해서 시 주석의 방한이 의미가 크다는 메시지를 전달했기 때문에 연장선상에서 나온 발언이라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 주석의 방한 언급은 한중관계 개선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달 26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시진핑 체제가 구축됐으니 전랑 외교만으로 끌고 갈 수 없는 상황이 됐는데 그런 차원에서 사실 북러관계도 살짝 거리를 두고 되레 한·중·일 이런 것이 같이 나오면서 이제 슬슬 기존과는 조금 다른 스탠스를 취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양 연구위원은 "왜냐하면 중국 경제가 너무 안 좋다. 청년실업률도 최악의 수준"이라며 "그렇다고 중국으로서도 계속 패권 이런 것 하면서 싸우고 뭐 하고 할 때가 아니라 경제적 실리를 나름 추구해야 될 시기"라고 말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다만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역할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양 연구위원은 "중국의 한반도 정책의 핵심은 북한이 존재하는 것"이라며 "(북한) 정권 자체가 존재해서 자신들에 대해서 버퍼존(완충지대)으로 존재하는 게 제일 핵심인 거고 물론 (중국은) 핵에 대해서는 반대지만 그래도 생존에 필요하다고 한다면 핵 개발은 방해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을) 스무스하게 엑시트하기 위해서는 그렇게 중국과의 관계를 나름 잘 끌어갈 필요가 있다, 실리적으로 갈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양 연구위원은 "한미관계가 이렇게 강화되고 한미일까지 되면서 중국이 좀 위기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데, 결국 그런 부분에서 한국이 우리가 중국을 압박하는 게 아니라 복잡한 판국 아래서 잘 지내보자는 그런 것 때문에 한·중·일 셋이 만나는 매개를 대한민국이 하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되레 균형 외교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 주석은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4년 7월 국빈 방한을 마지막으로 한국을 찾지 않았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임기 중인 2017년 12월과 2019년 12월 두 차례 방중했지만 시 주석은 답방하지 않았는데, 외교 관례상 시 주석이 한국을 찾을 차례라는 인식이 있다.

이슈1팀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