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해영기자
미국의 대중 반도체 봉쇄 조치로 중국 사업에 타격을 입게 된 미 반도체 업계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중국도 이 틈을 놓칠세라 강력한 '바잉파워(구매력)'를 앞세워 미 마이크론의 반도체 판매를 금지하고, 인텔의 인수합병(M&A)을 좌초시키는 등 급소를 치는 방식으로 맞불을 놨다. 이번엔 화웨이가 자체 개발한 7nm(나노미터·10억분의 1m)급 반도체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내놓자마자 '아이폰 사용 금지령'까지 내리는 등 반도체에 이어 스마트폰 기업으로 보복 대상을 확대하는 양상이다. 약한 고리를 공격해 조 바이든 행정부의 수출통제 조치를 둘러싼 미국 내부의 반대 여론을 확산시키겠다는 노림수도 엿보인다.
8일 블룸버그 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 반도체 기업 중 상당수는 중국 시장에서 두자릿수 비중의 매출을 거두고 있다. 퀄컴의 경우 전체 매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64%에 달한다. 브로드컴이 35%로 뒤를 이었고, 다음으로 인텔(27%), AMD(22%), 엔비디아(21%), 마이크론(11%) 순으로 나타났다.
시장에선 미국이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 수위를 올리면, 중국이 미국산 반도체 판매금지 대상을 확대해 추가 보복을 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앞서 중국은 지난 5월 마이크론 제품의 중국 내 판매를 금지했고, 인텔의 이스라엘 반도체 업체 인수합병(M&A) 승인을 계속 미뤄 결국 인수를 포기하도록 했다. 블룸버그 통신 산하 경제연구소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I)의 파울라 펜칼 선임 반도체 연구원은 "중국은 마이크론 매출의 10.8%를 차지하지만, 다른 여러 기들의 (중국) 판매 비중은 더 높다"며 "중국이 정말 (미 기업에) 타격을 입히길 원하면, (판매금지)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의 보복 조치가 현실화되면서 이미 미 반도체 업계에선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인텔, 엔비디아, 퀄컴의 최고경영자(CEO) 등은 지난 7월 미국 행정부 측과 만나 중국을 타깃으로 한 수출통제 중단을 촉구했다. 이들은 미국의 제재가 반도체 리더십을 저해하고, 중국의 기술 개발만 가속화 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했다. 팻 겔싱어 인텔 CEO는 중국의 반도체 주문을 받지 못하면, 미국에 인텔 신규 공장을 건설할 필요성도 사라진다고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을 회원사로 둔 미 반도체산업협회(SIA) 역시 같은 달 "광범위하고 모호하며 일방적인 제재 반복으로 미 반도체 산업 경쟁력 약화 및 공급망 교란이 우려된다"며 추가 제재 자제를 요구했다.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의 90%를 차지하는 엔비디아 역시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 수출통제 조치에 비판적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그동안 여러 차례의 인터뷰를 통해 "우리는 규제를 준수하겠지만 내 생각에 중국은 그 기회를 활용해 자국 현지 기업을 육성할 것이다. 중국이 미 반도체를 구매할 수 없다면 그들은 스스로 만들어 버릴 것"이라며 제재 효과에 회의적인 입장을 밝혔다. 앞서 미 정부는 지난해 8월 엔비디아의 고급 반도체인 A100, H100을 콕 집어 대중 수출을 아예 금지했다.
미 반도체 업계는 중국 매출 타격을 최소화 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엔비디아는 작년 미국이 첨단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막은 후 미 수출제한 규정에 부합한 중국향(向) 반도체인 A800을 따로 만들어 중국에 공급하고 있다. 마이크론은 중국의 반도체 판매금지 조치 한 달 후인 지난 6월 중국에 43억 위안을 추가 투자하겠다고 밝히며 중국 정부 달래기에 나섰다. 미국은 대중 압박 수위를 점점 올리고 있지만, 미 반도체 기업들은 오히려 중국 시장 사수를 위해 우회로를 찾고 투자 보따리를 푸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