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은영 입 열었다 '교사 사건 마음 아파…'금쪽이' 인간개조 방송 아냐' 반박

'금쪽이' 솔루션 비판에 대한 입장 밝혀
"단기간 치료가 아닌 방향 제시하는 것"

정신건강의학 전문의 오은영 박사가 최근 발생한 초등학교 교사 사건들에 대해 "마음이 아프다"고 말했다. 또 '금쪽이' 방송에 제기된 비판에 대해서는 "금쪽이는 인간 개조 프로그램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오 박사는 25일 텐아시아와의 인터뷰를 통해 "최근 일어난 안타까운 사건에 저 역시 마음이 아프다"며 "그만큼 어깨가 무겁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고 밝혔다.

오은영 박사.

그러면서도 채널A 프로그램 '금쪽같은 내 새끼' 등을 통해 소개된 오 박사의 솔루션이 일종의 환상이며, 교권 추락의 원인이라고 지적되는 상황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했다.

앞서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서천석 박사는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교사 사망 이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금쪽이' 방송을 공개 비판한 바 있다.

서 박사는 지난 19일 "'금쪽이' 부류의 방송이 지닌 문제점은, 방송에서 제시하는 솔루션으로는 절대 해결되지 않을 사안에 대해서 '해결할 수 있다'는 환상을 만들어낸 것"이라며 "매우 심각해 보이는 아이의 문제도 몇 차례의 상담, 또는 한두 달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듯 꾸민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오 박사는 "(금쪽이는) '이랬던 아이가 이렇게 변했다'가 아니라 육아의 길을 잃은 부모가 문제를 공개하고, 문제 원인과 이유를 함께 의논해 앞으로의 육아 방향을 얘기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했다.

또 "약물 치료가 필요하면 전문의를 만나라고 한다. 입원 치료가 필요하면 입원을 하라고 끊임없이 얘기한다"며 "단시간에 좋아지지 않으니 지치지 말고, 지쳐도 힘내라고 한다. 한두 번으로 좋아진다고 한 적 없고, 그렇게 생각하지도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어 "금쪽이는 치료가 아닌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그램"이라며 "방송만 보고 '개조가 안 됐다', '솔루션이 실패했다'라고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실패와 성공으로 나뉘지 않는다. 다양한 면이 있다는 걸 함께 알아보자는 취지"라고 강조했다.

"저서 내용 왜곡…어떤 일에도 폭력은 안 돼"

오은영 박사의 저서들.

일부 교사와 SNS에서는 오 박사의 육아 관련 저서에서 '담임에게 죄송하다는 말을 듣고 와야 한다', '담임 교체를 요구하라' 등의 내용이 있다며 문제점을 지적하는 여론이 일었다.

이를 두고 오 박사는 "책은 글쓴이의 의견을 전달하는 장이다. 줄과 줄 사이, 단락마다 함축된 의미가 담겨 있다"며 "글은 앞뒤 맥락을 봐야 의도를 알 수 있는데, 다 자르고 단편적인 부분만 내놓으면 잘못 이해되기 쉽다"고 우려를 표했다.

아울러 최근 교권 추락의 원인으로 '체벌 없는 훈육'이 언급되는 것에 대해선 "2005년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를 할 때도 가장 중요시한 게 훈육"이라고 답했다.

또 "부모는 아이들이 잘못된 행동을 하면 가르쳐야 한다. 근데 그때까지만 해도 부모가 아이를 많이 때렸다"며 훈육하지 말라는 게 아니고 때리지 말라고 했다. 훈육은 평생 강조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누구의 권리는 덜 소중하고 더 소중하겠는가. 학생뿐 아니라 선생님의 권리도 소중하다"며 "안타까운 목숨을 잃은 선생님에 나 역시 가슴이 아프다. 그러나 교권이 추락한 게 아이들을 때리지 않기 때문이라는 일부 논리는 마음이 아프다"고 덧붙였다.

오 박사는 "선생님들의 고충을 담는 금쪽이 방송에 대해서도 논의를 해보려고 한다"면서 "어떤 일이 있어도 폭력으로 문제를 지도하던 시도로 돌아가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슈2팀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