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요식업은 1금융권에서 대출 못받습니다'

"희대의 부실차주 업종" 자영업자들의 자조
부채 질 악화, 연체율 상승..대출문턱 높아져
소상공인 대출 증가 규모 확 꺾여

"1금융권 은행에선 요즘 요식업 대출을 아예 안 해주는 것이 많더라고요. 자영업 자체가 지금 희대의 부실차주 업종이라 은행을 돌아다녀도 대출이 안 돼요. 해 준다는 은행 지점이 하나 있어 이야기를 들어봤는데 금리랑 한도가 기가 막혀요. 도무지 빌릴 엄두가 안 납니다."

3년 전 배달 음식점을 차린 김도현씨(33)는 가게 운영비로 쓸 돈을 못 빌리고 있다. 신용보증재단 대출 3000만원이 있긴 하지만 은행 대출은 아예 없고 작년 매출도 1억8000만원 정도 나왔다. 김씨는 "신용점수도 높은 편인데 왜 대출을 신청하면 반려 당하는지 모르겠다"며 답답해했다.

자영업자 부채의 질이 악화되고 연체율이 올라가면서 자영업 대출의 증가 속도가 눈에 띄게 꺾였다. 금리도 아직 높은 수준이거니와 은행들이 자영업 대출 리스크를 감안해 대출 문턱을 높였기 때문이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 따르면, 소상공인 대출 잔액은 올해 1월부터 6월(26일 기준)까지 2조4144억원(313조650억원→315조4794억원)이 늘어났다. 이는 작년 1월부터 6월까지 증가분 9조3746억원(301조4069억원→310조7815억원)에 비해 4분의 1밖에 안 되는 수준이다.

빚을 짊어진 골목길 사장님들의 속사정은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알 수 있다. 보고서는 "지난해 자영업자 부채가 취약차주(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이거나 저신용 차주), 비은행권, 대면서비스업 위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부채의 질이 전반적으로 나빠진 것이다.

전체 자영업자 대출잔액 대비 경기에 민감한 영세업종 위주인 대면서비스 대출 비중은 2021년 말 44.3%에서 올해 1분기 46.1%로 늘어났다. 대출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2금융권 대출 비중도 같은 기간 35.5%에서 39.4%로 증가했다.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이나 저신용자인 취약차주 비중은 9.0%에서 10.1%로 올라갔다.

연체율 상승도 판박이처럼 따라 움직였다. 보고서는 "자영업자들이 한 달 이상 원리금을 연체한 기준으로 연체율을 산정해보면, 대면서비스업 연체율 증가 폭이 다른 업종보다 컸다"며 "비은행권과 취약차주 연체율도 같은 추이를 보였다"고 전했다. 지난해 6월 말 대비 올해 3월 말 대면서비스업 연체율은 0.38%포인트 상승(0.22%→0.60%)했다. 비대면(0.18%포인트, 0.19%→0.37%)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금융업권별로 보면 1금융권 연체율은 0.21%포인트(0.16%→0.37%), 2금융권은 1.25%포인트(1.27%→2.52%) 상승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자영업자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는 시점이라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올해 들어서 대출을 보수적으로 할 수 밖에 없었다"며 "대출 심사도 작년보다 까다로워졌다"고 했다. 한은 역시 "자영업자의 경우 부동산 가격 하락에 취약하고 원리금 상환 부담이 높은데다 경기회복까지 지연돼 연체 규모가 확대될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경제금융부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