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해빙무드 속 바이든 폭탄 발언 '시진핑은 독재자'

정찰풍선 언급하며 '독재자' 지칭
미중 긴장 완화 흐름 속 파장 주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독재자(dictator)'로 지칭했다고 주요 외신들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시 주석을 만난 다음 날 나온 것으로 양국 긴장 완화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모금행사에 참석해 이같이 발언했다. 그는 이날 행사에서 올해 2월 이른바 '중국 정찰 풍선' 사태가 벌어졌을 당시 시 주석이 제대로 된 경위를 몰라 매우 당황해했다고 주장했다.

2022년 발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에서 얼굴을 마주한 미중 정상. [사진출처=로이터 연합뉴스]

구체적으로 바이든 대통령은 "내가 스파이 장비로 가득 찬 풍선을 격추했을 때 시진핑이 매우 화를 냈던 이유는 거기에 그것이 있다는 사실을 몰랐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이는 독재자들에게 큰 당혹감을 주었을 것"이라며 "그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몰랐고 그때 그 정찰 풍선은 경로를 벗어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 18~19일 중국에 방문해 시 주석과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친강 외교부장과 대화하며 긴장 완화를 모색한 가운데 나왔다.

당초 블링컨 장관은 지난 2월 방중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정찰 풍선 사태가 터지고 양국 관계가 경색되면서 일정을 무기한 연기한 바 있다.

틀간의 일정으로 중국을 방문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왼쪽)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19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출처=AFP·연합뉴스]

이번에 중국을 찾은 블링컨 장관은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양국 관계를 안정화하기로 합의했으나, 군 간의 소통 라인을 재개하는 것은 거절당하면서 큰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19일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를 방문한 자리에서 미·중 관계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우린 지금 여기 올바른 길 위에 있다"면서 일부 진전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슈2팀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